티치미찬휘 [339782] · MS 2010 · 쪽지

2011-09-02 03:33:14
조회수 2,393

김찬휘의 9월 모평 분석과 EBS 70일 전략 (2) 어떤 문제 유형에 집중할 것인가?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1663792

EBS-수능 연계 70% 방침이 시행되기 시작한 작년 6월 모의평가부터 지금까지 다섯 번의 평가원 주관 시험이 있었습니다.
(물론 작년에는 6월 50%, 9월 60%, 수능 70%로 순차적으로 연계율이 높아졌습니다.)
김찬휘 선생님은 EBS-수능 연계에 관한 정밀한 분석을 통해 외국어 영역 학습법의 기준을 세워나가고 있습니다.
그동안 쌓아올린 자료와 김찬휘 선생님의 분석력을 바탕으로 남은 70일, EBS-수능 70% 연계를 어떤 자세로 돌파해야 하는지 알려 드립니다.

이하는 김찬휘 선생님의 EBS 70일 전략 칼럼입니다. 세 부분으로 나누어 싣습니다.
나머지 글들도 오르비 칼럼 게시판에서 확인하세요.

(1) 어떤 책에 집중할 것인가?
(2) 어떤 문제 유형에 집중할 것인가?
(3)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EBS 70일 전략 (2) 어떤 문제 유형에 집중할 것인가?

EBS 책에 있는 어떤 유형의 문제에 더 주목해야 할까요? 어떤 유형의 문제가 더 많이 변형되어 출제될까요?
2011학년도 6월, 9월 모의평가와 11월 수능, 2012학년도 6월, 9월 모의평가의 EBS 출제 현황입니다.

[도표] EBS 교재에 있던 문제 유형 분석


한마디로 지문의 가치가 높은 문제 유형은
① 주제, 요지, 주장, 제목, 문단요약 등 글의 대의 유형.
② 빈칸완성 유형.
③ 어법, 어휘 유형
④ 논리구조
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앞의 세 유형이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

도표문제 5회는 모두 EBS에서 출제되었습니다. 도표 문제는 무조건 EBS에서 출제합니다. 지문의 내용은 물론 바뀌죠.

그럼 어떤 유형의 지문은 덜 중요한 것일까요?
한번 봐두기는 해야겠지만 복습까지 할 필요는 없는 유형, 저도 변형독해 교재에 잘 선발하지 않는 유형은 어떤 것일까요?
이런 유형의 지문을 건너뛰는 것은 과하다고 보아야겠지만, 집중하거나 복습까지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① 목적 : 짧고 단순함. 실용문이라 유형 전환 힘듬.
② 분위기, 심경 : 대개 이 유형만을 위한 지문임.
③ 내용일치, 불일치 : 설명문 많음. 소수의 논설문 내용일치 지문만 주목할 것.
④ 장문독해 : 장문독해로는 출제 불가. 단문독해로 전환 가능한 부분만 주목할 것.  

이 부분은 6월 모의평가 때 제가 분석한 것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왜 어떤 유형이 더 많이 출제되는가, 혹은 출제되지 않는가에 관한 이유 설명은 그 때 쓴 글을 참조해 주세요. 이미 읽어보셨죠?^^


(3)편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로 이어집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