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순이 [275601] · MS 2009 · 쪽지

2009-03-16 06:22:41
조회수 923

내신과 수능 두 마리 토끼, 어떻게 잡아야 하나요?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1838723

고3입니다.
내신을 버릴수도, 수능을 버릴 수도 없는 고3입니다.

작년까지는 내신 시험기간이 아닐 때는 모의고사(수능) 공부를 했구요,
시험 3주 전부터는 내신 공부를 해왔습니다.

그 때는 1년에 4번 밖에 모의고사가 없어서 괜찮았는데,
이제는 매달 보잖아요.

그리고 내신 공부한답시고 언어나 외국어 사탐 등을 한달 간 손 놓고 있으면
평가원 모의고사에도 치명적일거 같고.


내신은 거의 다 1등급 나오는 수준인데,
3학년 1학기 올1등급으로 학생부 우수자 전형 쓰는게 1차 목표예요.
하지만 학생부 우수자 전형에서 떨어질 때를 대비해,
수시 2-2 준비도 해야하거든요.

모의고사는 중상위권-상위권 왔다갔다 해서, 더욱더 많은 공부를 필요로 하고.


내신과 수능,
어떻게 해야 효율적으로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lacri · 2 · 09/04/03 17:32 · MS 2002

    일단 모의고사와 내신이 너무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고..
    모의고사를 대비해서 공부를 하는 것이 가능은 한가요? 고3이라면 모의고사 시험 범위까지 학교 진도가 안 나가서 먼저 독학을 한다는 의미인지..
    소위 '수능 공부'를 하던 도중에 본 모의고사 점수와 '내신 공부'를 하던 도중에 본 모의고사 점수는 차이가 없는 것이 정상입니다. 어차피 모의고사가 측정하는 것이 일시적인 순간의 학력이 아니기 때문에요.
    모의고사가 중상위권-상위권라 함이 어느 정도 백분위를 말하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현재로서는 거의 다 1등급이 나오는 내신 쪽이 상대적인 경쟁력이 더 높은 것으로 보이니까, 내신 성적을 더 집중적으로 관리해 주었으면 좋겠고,
    보통은 내신 공부도 열심히 하면 수능 공부도 자동으로 되고, 혹시 '수능 유형' 같은 요령에 대해 말하는 것이라면 그건 여름방학 이후에도 충분히 할 수 있으니까
    지금은 너무 초조해 하지 말고 마음 편히 갖고 내신 관리에 열중하는 것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