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외길 [378112] · MS 2011 · 쪽지

2012-08-07 12:07:34
조회수 7,294

★수능문학 문제유형 6 . 공간의 일치 / 불일치 문제 모음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2990614

(732.2K) [1046]

수능 문학 문제 유형 5 - 고사, 한문구절 기출 분석 모음.pdf

(887.7K) [1122]

수능 문학 문제 유형 6-공간적 일치 기출 분석 모음.pdf

 수능 문학 문제 유형 5 : 고사/한문 구절

  -역대 수능, 모평 출제 횟수 : 7회+ α

  -출제 경향 : 이러한 문제 유형은 지문에서 고사나 한문 구절이 사용되었는지의 여부만 파악하면 된다. 주의해야할 점은 ‘고사’를 사자

                    성어로 알고 있는 수험생들이 있는데 고사는 고사성어가 아니다. 고사는 ‘유래가 있는 옛날 이야기’를 말한다.

  - 해당 유형 기출 분석 모음 : 파일 첨부



  수능 언어 문제 유형 6 : 공간의 일치 / 불일치 

-  역대 수능, 모평 출제 횟수 : 7회+ α

-  출제 경향 : 공간의 일치/불일치를 묻는 문제는 ‘1. 지문에서 공간 A와 공간 B가 있을 때, 그 두 공간이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묻는 문제, 2. 지문에서 공간 ⓐ~ⓔ가 있을 때 의미하는 공간이 다른 하나를 고르는 문제’로 나뉜다.

- 해당 유형 기출 분석 모음 : 파일 첨부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능사용설명서 · 394619 · 12/08/07 14:13 · MS 2011

    언어외길님 ^^
    비문학에서 약간 추론적인 문제 한번만 이런식으로 다루어 주실수 없을까요??
    수능예측언어 비문학편에 이런부분이 있는거 같은데..... 책값때문에 고민이 살짝 되네요
    수능예측언어 문학편은 구성보고 나에게 맞다고 생각해서 구매했는데..... 비문학은 맛보기만으로는 판단이 안 들어서
    책 가격때문에 망설여지네요 ......
    수능예측언어 문학은 정말 '대박'입니다 ^^

    언어외길님처럼 수능언어는 지문에 답이 있다는 생각으로
    최대한 제 생각을 배제하고 지문에 따라 글을 읽고 머리속에 내용을 정리하는 연습과
    지문에 근거해서 답을 찾는 연습을 해서 말이 추론이지 추론은 없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항은 기억 안나는데 EBS풀다가 이런 어떤 문제가 있었는데
    저는 당연하다 생각하고 맞추었고, 친구는 생각하다 틀렸는데.... 제가 답을 뭐라고 정확히 설명이 못하겠더라구요
    그래서 지문을 다시 읽고, 문제에서 물어보는게 무엇인지 생각해보니....
    굳이 유형을 따지자면, 추론보다는 비판하는것을 묻는거라고 판단하고 (1달전이라 기억이 잘 안나네요 필요하다면 찾아보고 다시 말씀드릴게요)
    문제를 접근하니 친구도 저도 잘 해결할수 있었습니다.

    말이 길었네요 요약하면
    1. 전 지문에 답이 있다고 생각합니다(문학이든 비문학이든)
    2. 하지만 수능예측언어 비문학편 목록에도 있듯이 '지문에 없는 내용이나 관계성설정' 이부분이
    걸리는 문제가 있긴 있더군요 ^^ 저만의 방법이 있어서 그렇게 해결할려고 하지만
    친구가 거기에 대한 설명을 하라고 하면 못하겠고, 친구와 이야기하면 간신히 만들어 놓은 저의 기준이
    흔들려서 제 기준 재정립하고 반복이네요 ....
    3. 그런부분에 대해서 책에 소개한 내용만큼은 아니지만 간단히 정리해주실수 있으시면 부탁드릴게요
    4. 책을 구매해서 볼까 하다가도, 수능예측언어문학편도 구매하고, 한완수, 수리의비밀, 4인4색도 구매하다보니
    정말 필요한 책이 아니라면, 제 문제집 구입 예상비용이 있다보니 머뭇거리게 되네요 죄송합니다. ㅠㅠ

  • 언어외길 · 378112 · 12/08/08 09:39 · MS 2011

    추론 문제도 맘대로 생각하면 안되구요 지문에 근거가 있다고 보면 됩니다.

    예를 들어, 기출문제 사례를 보면

    '귀의 소리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다 '라는 지문 내용 가지고 -> '귀의 소리를 통해 개인을 식별하는 기계를 만들 수 있겠군' 이라는 선지 내용이 추론가능하고

    '청세포가 손상되면 귀의 소리가 사라진다'라는 지문 내용 가지고 -> '귀의 소리 측정을 통해 청세포 손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겠군'이라는 선지 내용이 추론가능하고

    이런식입니다.

  • serendipity. · 389023 · 12/08/07 23:35 · MS 2016

    좋네요 ㅋㅋ 읽어보니 뭔가 새로운 지평이 열리는듯한..

  • 언어외길 · 378112 · 12/08/08 09:29 · MS 2011

    네 ㅋㅋ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