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smedical13 [415646] · 쪽지

2012-09-07 14:42:03
조회수 1,965

언어 춘향전 21번... 납득이 안되요 ㅠㅠ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3050096

전 5번은 답이 아니라 확신하고 3번 4번 고민하다가 3번을 선택했거든요..
근데 답이 5번이라니.. 제 생각은 보기에서 당대 사회가 여성이라면 정절을 지켜야 한다.. 이런 의식이 팽배해서 그 의식에 대한 비판의식을 보여준 작품이 춘향전이다.. 이렇게 해석을 했거든요?
그래서 지문에 춘향이가 한양에 있는 선산발치에다가 묘를 지어달라?라고 말했을 때 일단 5번 선택지에 비판 의식이란 말을 보기 전부터 저 혼자 '아 이건 한양에 있는 고위계층을 향한 비판.. 항의.. 이런거구나'라고 바로 생각이 들었어요.. 근데 풀이에는 뭐 춘향은 오히려 이몽룡을 위해 자신의 정절을 지키려했다니.. 보기에 그 사회에 대한 비판의식을 보여준다 해놓고 춘향이가 그걸 지문에서는 일부러 지킨다니.. 좀 찝찝해서요 ㅠㅠ 지문을 읽기전에 그 보기를 읽고 지문을 읽어서 그런지 전 그 사회에 대한 비판의 관점으로 지문을 읽었거든요.. 수능기출 분석할 때도 이런 애매함은 겪어보지 못했는데.. 어떤 방식으로 사고를 해야할까요..
아.. 그리고 남은 60일동안 언어는 뭘 공부해야 할까요.. 물론 EBS는 맨날 볼건데 그거말고는 뭘 해야 도움이 될지 모르겠네요.. 그냥 평가원 기출만 다시 보고 분석하고 마지막에 EBS 파이널 풀어봐도 되겠죠..? 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짜증나ㅡㅡ · 379358 · 12/09/07 14:57 · MS 2011

    함재홍샘 인강 들어 봤으면 발로 풀어도 답을 찿을 수 있는데 ㅋㅋㅋㅋ 올해는 인강을 찍지 않아서 강의는 없고요

    난 작년강의[언필본 언해본 운문 산문편] 하고 저작년 듄 강의 어렵게 구했는데 정말 문학은 짱임

  • ysmedical13 · 415646 · 12/09/07 15:23

    전 막 스킬 그런거 배우기엔 시기가 이미 넘 늦은거 같구요.. 그냥 이 문제에 적합한 사고과정만 알고 싶어요

  • 노력의 가치 · 388592 · 12/09/07 16:04 · MS 2011

    열녀춘향수절가입니다..... 정절을 강요하는 사회가 나쁘다는 지문,소설이 아니잖아요.

  • ysmedical13 · 415646 · 12/09/07 16:14

    그럼 보기는 무슨 의미로 주어진거죠..??

  • 한승연 · 293147 · 12/09/07 17:32 · MS 2009

    저도 3번해서틀렸는데.. ㅠㅠ 이해가잘안되네요

  • 13일어문 · 345010 · 12/09/07 17:54

    저는 4번했는데 5번이 왜 아닌지는 모르겠네요 .. 1~4번이 맞는 선지인건 알겠는데..

  • Clansman · 298589 · 12/09/07 17:59 · MS 2017

    보기를 다시 자세히 읽어보면, 춘향전이 '다루고' 있는 것은 '여성의 정절 및 신분 상승의 문제' 입니다. 그리고 당대 사회에 대한 비판 의식은 그것을 통해서 '드러나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춘향전 자체는 춘향이가 정절을 지켜 신분 상승을 도모하려는 내용까지만 보여주고, 독자가 그것을 읽음으로서 당대 사회에 대해 작가가 가진 비판의식을 읽어낼 수 있다는 말이죠. 그렇게 때문에 5번선지에서 비판의식을 투영한 것을 '춘향'이라고 한 것은 잘못입니다. 그걸 차치하더라도 '춘향에게 정절을 강요한다'라는 것이 사실관계 차원에서 틀렸는데, 지문에서 춘향이는 강요에 의해 정절을 지킨 것이 아니라 스스로 선산발치에 묻고 수절원사로 여겨달라고 요구한 것이니까요. 3번,4번은 정절에 대한 보상이나 신분상승이 명확하게 지문에서 확인되지 않는다 해도 보기에서 언급된 내용이기 떄문에 허용범위 안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제 나름대로 이해한 내용입니다..... 문학은 비문학과 달리 선지에서 개연성 있는 해석이 들어가기 마련이고 그것이 어디까지 허용되느냐를 고민하는 게 문제 해결의 시작인 것 같습니다.

  • 언어곡괭이 · 413970 · 12/09/07 18:04 · MS 2012

    간단히 선지 구성 원리 측면에서 보면,

    선지 3과 4과 같은 말이란 것을 이해 할 수있나요?
    선지3의 '정절에 대한 보상' = 선지 4이 '신분상승' 이것이 이해 됩니까?

    그럼 선지 3과 4는 답이 될 수 없겠죠..

    선지 5는 선지 3,4와 배치 되는 항목임을 알 수 있겠습니까?

    당대 사회에서 정절을 강요하는 쪽은 양반 계층이었나요? 평민(서민) 계층이었나요?
    당연히 양반 계층이었죠.
    그럼 춘향이가 비판하는 계층인 양반 계층으로 신분 상승을 기대하면서
    그 신분 계층에 대한 비판을 한다는 것이 말이 안 되겠지요.
    그래서 선지 (3,4)와 선지 5는 서로 배치 되는 내용이란 것입니다..

  • r.e.m · 412228 · 12/09/07 18:28

    그상황을 통해 비판의식을 느끼는거지 춘향이가 비판하는게 아니예요 ㅋㅋ

  • 하늘에 · 363854 · 12/09/09 15:36 · MS 2011

    그렇죠. 춘향전(작가)이 비판하는거지 춘향이(주인공) 비판하는게 아니죠.

  • 김기덕따까리 · 410896 · 12/09/08 16:45 · MS 2012

    정절을강요한다가 틀린거같은데 지가하고싶어서그런거아님?
    근데왜 4번에서 부용당이 신분상승인지모르겠음;; 어느구절에그런게있쬬ㅠㅠ??

  • 박하선 · 398902 · 12/09/08 22:47 · MS 2011

    부용당이 아니라 선산 발치 라서 신분 상승입니다

  • 박하선 · 398902 · 12/09/08 22:46 · MS 2011

    그 누구도 정절을 강요하지 않았습니다 춘향의 비판의식도 아닌 것 같구요

  • 야구몽키 · 370549 · 12/09/09 17:28 · MS 201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비오비타 · 407609 · 12/09/12 07:13

    답은 확실히 5번이에요. 저도 사실 처음 선지봤을때 님처럼 생각했어요 근데 바로 뭐가 좀 이상한느낌들어서 다시 제대로 보고 생각해봤는데
    ' 춘향이가 비판하나?정절을 강요하는 사회를? 차라리 정절을 지키지 못하게 하는 변사또를 비판한다고 하면 모르겠는데 이건 완전 반대말이네 춘향이는 정절을 지키려고(=변사또한테 안가고 이몽룡을 계속 기다림)하고있으니까 ' 해서 다른선지 고민할 필요도 없이 5번했어요. 문제를 풀다가 막히는게 있으면 문제를 다시 꼼꼼히 보세요 글자 토씨하나 빼먹지말고. 그래도모르겠거든 보기를 다시보세요 뭐 놓친거 없나. 작은 조사 하나만 잘못읽거나 빼먹어도 사고가 틀어져요.

  • 비오비타 · 407609 · 12/09/12 07:15

    그리고 평가원에서 종종 보기와 반대되는 선지를 답으로 배치하는 경우가 있어요 기출 몇번 보시면 보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