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qq03 [285834] · MS 2009 · 쪽지

2012-09-24 21:46:07
조회수 629

작년 연대사회논술 1번 평가좀해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3083037



1번에서 전 다수가 새로움을 막는다/안막는다.를 비교기준으로 잡았는데요,

그 전에 여기서의 다수를 '다양성'을 지니고 있는 다수라고 제한했고요,

(가)는 막음, (나),(다)는 막지 않고 오히려 도와줌.

(가)에서의 종교개혁이라는 새로움은 오직 다양성이 생성되기 전에만 가능하고,

다양성이 생성되면 반대가 많아져 새로움이 생성될 수 없다.

(나)에서 새로움은 과거에 완결된 것이 새롭게 부각되는 것.

그것이 다수의 아류작에 의해 실행된다.

(다)에서 새로움은 다수의 성찰에 의해 발생하는 것. 개인의 아이디어는 필연적으로 모방으로 인해 연대를 낳고 그로 인해 다수의 아이디어가 새롭게 생성.


(나),(다) 차이는 새로움이 생성되는 과정을 다르게 보는 것에서 드러남.

(나)는 새로움이 생성되는 과정이 과거에서 현재로 연속적으로 나아간다고 보았는데

(다)는 새로움이 생성되는 과정을 단절적이라고 보았다. 현재의 새로운 아이디어로 인해 과거의 아이디어가 종결된다는 뜻이다.


뭐 대략 이런식으로 썼는데 어디서 잘못된 것인지 왜 잘못된 것인지 비판좀 해주세요 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격쓰 · 362199 · 12/09/24 23:02 · MS 2017

    저의 짧은 지식으로 말하자면 우선 다수를 (가)에 근거하여 볼때 다양성을 지닌 다수와 획일적 다수로 나누어서 보셔야하는데 아예 다수를 다양성을 지닌다고 전제를 까시면 특히 2번에서 꼬일듯해요 2번에서 그러한 다수의 성격을 구분하는 포인트가 필요해서요 ㅋ
    님의 개요를 보아하니 우선 가,나,다 요약후 거기서 서로간의 차이점을 찾으시려고 한것같은데 무조건 이러시면 논점을 벗어날수있는 위험이 있어요 무엇보다 우선 철저하게 논제 분석이 우선이고 그 논제분석을 토대로 독해를 하시고 비교기준을 세우셔야해요 ㅋ 이 문제에서는 특히 '다수의 역할'을 중심으로 비교를 하라고 했으니 그러한 부분에 더 초점을 맞추는게 좋을듯합니다. 님의 가,나,다 요약 자체는 나름 무리는 없는듯하나 서로 비교하신것을 보면 논제와는 좀 거리가 있는 부분이 있는것같아요

    그리고 무엇보다 연대문제는 1,2번 모두 같이 논제 분석하고 제시문도 모두 같이 유기적으로 분석해야 더 수월하실겁니다 1번 따로 2번따로 ,제시문 가나다라 따로 분석하시면 풀면서 좀 힘드실거에요

    이상은 제 생각이고요 무엇보다 논술은 어느것이 절대적이라고 말은 못하는거니 제가 틀린부분도 있을수있습니다만
    무엇보다 자신의 답이 뭔가 완벽하지 않더라도 자신만의 논리로 주장과 근거를 자신있게 전개하나가시는것이 제일 중요한것같아요 ㅋ 열심히해서 꼭 논술 좋은 결과얻으세요

  • cqq03 · 285834 · 12/09/25 16:23 · MS 2009

    정말 좋은 답변 감사해요. 완전히 요약후 비교하는 식은 아니었다만 '다수의 역할' 을 제대로 생각못했네요 . 추가로 네.. 그 전제때문에 2번에서 상당히 뒤죽박죽이 되죠.;;

  • 루삽 · 344367 · 12/09/25 00:14

    (나)vs(다)의 비교기준은 좀 억지스러워요.

    (나)는 주체적참여x (다)는 주체적참여

    그리고 (가)에서 다양성을 지닌 다수를 뽑아오면

    (나),(다)랑 비교하기가 힘들어져요.

    새로움을 받아들이는 천편일률적인 대중을 (가)에서 뽑아서

    그 다수와 (나),(다)의 다수를 비교해야되요.

    그럼 자연히 (가)의 다수는 새로움을 절대화하고

    (나),(다)의 다수는 새로움을 절대화하지 않는다.

    혹은 (가)의 다수(새로움을 받아들이는) 는 지적수준이 낮고

    (나),(다)는 지적수준이 높다.

    정도로 비교기준이 나오죠.

  • cqq03 · 285834 · 12/09/25 16:21 · MS 2009

    답변 감사합니다. 왜 억지스러운지 말해주실수 있나요??

  • Hwanism · 376046 · 12/09/25 01:27 · MS 2011

    기준잡으신거만 말씀드리면 틀린답은 아닙니다.
    (가)vs(나)(다) 첫번 째 기준 좋습니다. 다수를 거부하고, 다수를 인정하니까요.
    (나)vs(다) 두번 째 기준 또한 좋습니다. (나)는 연속적이라고 보고, (다)는 단절적 이라고 봤는데.
    제시문(나)에서는 마지막 줄에 걸작과 걸작과를 매개한 것이다.라고 보았고.
    제시문(다)에서는 이것은 그 이전의 모든 것을 잊게 만든다. 라고 했으니 맞다고 볼 수 있습니다.

  • cqq03 · 285834 · 12/09/25 16:24 · MS 2009

    괜찮은 거군요 . 하지만 성급한 전제는 조심해야겠어요. 답변 감사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