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변선생 [342667] · MS 2010 · 쪽지

2012-11-19 23:02:38
조회수 8,228

아직도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2005년도 평가원 문법문제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3227684

(21). (A), (B), (C) 각 네모 안에서 어법에 맞는 표현을 골라 짝지은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Ice hockey is unusual among the major sports in (A)[such / that] teams frequently play with different numbers of players. Penalties are given for various physical violations that go beyond the sport’s permissive rules of contact. Such penalties result in a player being sent to an isolated area called the penalty box, after which the offender’s team must operate a player (B)[short / shortly]. This period of time, when teams have different numbers of players, is called a power play, and provides an excellent (C)[scoring / scored] opportunity for the larger team.

2005년도 9월 모의고사 문법 문제입니다.  (B) 부분에서 엄청난 논란이 있었죠. 평가원에서 논란의 종지부를 찍겠다고 short의 품사를 "형용사"로 규정하여 어떤 강사는 자신이 틀렸다고 시인을 했었고, 어떤 강사는 자신이 맞다고 끝까지 우겼으며, 다른 어떤 강사는 평가원과 같은 답을 했다는 이유로 갑자가 확 떠버렸죠. 

그런데, 만약에 평가원이 틀렸다면 이 지나간 과거를 어떻게 되돌려야 할까요? ㅋㅋ 한국식 영문법 (일본의 영향을 받은)이라고 불리는 성문과 맨투맨 (지금부터 줄여서 SM이라고 하겠습니다.) 영문법체계를 따라가면 short의 품사를 규정할 길이 없습니다. 잘못된 정의로부터 시작된 개념으로는 저 단어를 이해할 수 있는 tool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애당초 평가원이 이 문제를 만들 때, 제대로 알고서 문제를 만들었을 가능성은 0%라고 보입니다. 그러니깐 틀린 답변을 발표한 것이겠죠... 사실 이 문제를 풀 때 품사를 규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논란이 되었기 때문에 품사를 규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SM의 정의와 School Grammar의 정의의 차이를 보고 가겠습니다. 

SM의 부사구 : 부사처럼 쓰이는 구. 예를 들어서 전명구, to부정사 등이 있다
School Grammar의 부사구 : 부사가 핵심(Head)을 이루는구. 따라서 부사가 없으면 부사구 아님. 

5 minutes ago, two days later 등은 ago와 later같은 부사가 핵심이 되며 앞에 있는 5 minutes나 two days는 부사를 보충해주는 표현들입니다. 이런 덩어리는 원서책에서는 부사구라고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예전에 제가 써두었던 글을 올려서 위의 문법문제에서 short가 부사인 것을 증명하겠습니다. (그 당시 이미 저명한 외국의 언어학자들이 short의 품사가 "부사"이며 a player short는 "부사구"임을 확인해주었습니다. 이 내용을 갖고 제 친한 선생님 두 분과 그 당시 궁지에 몰린 김기훈선생을 찾아 갔었는데, 괜히 찾아갔다는 생각만 갖고 돌아오게 된 일화가 있었습니다. ㅋㅋ 저와 김기훈 선생의 처음이자 마지막 만남이었습니다. ㅋㅋ)


* late와의 유사성을 통한 short의 품사규정 

late와 short는 공통적으로 앞에 의미를 보충해주는 단위명사(정도를 표현해주는 명사)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의 문장들을 살펴보자. 

1.1 If a team is two players short, then both teams must be in a 3-2-1 formation 
1.2 With buses, you may be okay if you are a few minutes late. 

1.1의 문장과 1.2의 문장에서 short와 late는 be동사의 보어로 쓰이는 형용사이다. 그 앞에 two players와 a few minutes란 단위명사가 공통적으로 쓰이고 있다. be동사 뒤에서 보어로 사용되는 구조이므로 late와 short가 형용사의 성격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hort는 형용사로 사용될 때 뒤에 of가 나오는 형태가 많이 쓰인다. 즉 short of +명사의 형태가 된다. late역시 흔하지 않지만 late of +명사의 형태가 나타난다. 

2.1 Try to be prompt because we'll be very short of time. 
2.2 We will be late of a few minutes. 
2.3 With buses, you may be okay if you are a few minutes late (although not more than five minutes, or ten in extreme cases), but, if you are twenty-seconds late for your train, you might as well forget it. 

2.1과 2.2에서 short와 late는 공통적으로 of+명사구의 어순을 취하고 있다. 2.3의 예문은 late of가 사용되는 것이 우연한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증거가 된다. 

late와 short는 형용사로 쓰일 뿐만 아니라 부사로 쓰이기도 하는 단어들이다. 이 점도 역시 공통점이라 하겠다. 다음에서 우선 하나의 문장을 살펴보자. 

3.1 We arrived an hour late. 

이 문장에서 late가 부사임을 아는 것은 어렵지 않다. arrived가 보어나 목적어를 쓰는 동사가 아니기 때문이다. an hour라는 단위를 나타내주는 명사가 앞에 사용되어서 an hour late라는 부사구 부사어(A)를 만들고 있다. 

3.2 The team must operate a player short. 

이 문장이 바로 논란이 되고 있는 문장이다. 이 문장에서 operate는 여러 분들이 거론했던 것과 같이 보어를 사용하는 동사가 아니다. 그렇다고 a player를 목적어로 사용하는 것도 아니다. 우리가 살펴보고 있는 것처럼 a player가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로 쓰여서 short에 붙은 것이기 때문이다. operate란 동사가 아니라 play란 동사 다음에서 a player short과 같은 구조가 나온다는 것에서 목적어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부사나 형용사 앞에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가 쓰이는 것은 흔하게 발견할 수 있다. 

3.3 If set to 0, the note is played one octave below 
below는 전치사구에서 뒤에 명사구가 생략된 형태로 부사의 성격을 갖는다. 

이런 구조에서 단위 명사 앞에 with란 전치사가 사용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단위명사로 쓰이는 명사와 형용사로 사용되는 late나 short와 앞에는 with가 쓰이지 않지만 부사로 쓰이는 덩어리 앞에는 with가 쓰일 수 있다. 

4.1 The team kept playing and scoring with a player short. 
4.2 The Grammy will be aired with 5 minutes late, So they can cut out the scenes 
that are too nasty to be shown (like Janet and Justin). 

이 때 사용되는 with는 분사구문을 만드는 with와는 성격이 다른 것 같다는 추측이 생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자료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언급을 하지 않는 편이 좋겠다. with a player being short는 비문이 되어서 문장 검색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그 가능성은 기대하지 않는 편이 좋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토대로 보아도 문제가 되고 있는 3.2 The team must operate a player short.란 문장에서 short의 성격이 부사로 사용되는 late와 구조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부사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