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ola [396936] · MS 2011 · 쪽지

2013-01-13 20:26:36
조회수 7,471

삼수 의대에서 유급..??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3506346

삼반수 할지도 몰라서 그러는데요,, 삼수 해서 의대가면 유급 한번도 당하지 않아야 한다는데 진짜에요?? 그래야지 군대 안끌려 간다던데,,?? 의대는 군의관아닌가요?? 잘 모르겠어요 ㅜ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SHANA♪ · 411270 · 13/01/13 20:29

    근데 본과는 몰라도 예과에서 유급당하기 진짜 힘든데 ㅋㅋ

  • §행복한 11월§ · 396936 · 13/01/13 20:35 · MS 2011

    정확히 '유급당한다' 의 뜻이 시험 망해서 1년 더하는 거에요??

  • SHANA♪ · 411270 · 13/01/13 23:21

    네 ㅋㅋ F받거나 학점 2점정도(대학마다 컷다름) 안되면요 ㅋㅋ

  • constellation · 73011 · 13/01/13 23:34 · MS 2004

    예과 F는 추억이지만 본과 F는 현실이죠
    그리고 예과도 예과2학년은 보통 예과1학년보다 필수과목 성적사정도 엄격하고, 재수강의 여지도 없잖아요??

  • constellation · 73011 · 13/01/13 20:34 · MS 2004

    사수생까지 인턴/레지던트 수련과정 스트레이트로 마치실 수 있고, 육수생까지 의대6년 스트레이트로 마치실 수 있습니다.

  • §행복한 11월§ · 396936 · 13/01/13 20:36 · MS 2011

    답변 감사합니다... 근데 공보의가 뭐에요???

  • constellation · 73011 · 13/01/13 20:40 · MS 2004

    보건복지부 소속으로, 의료시설이 부족하거나 없는 지역을 중심으로 배치되어(시골깡촌 보건지소) 근무하는 의사를 말합니다.
    사정을 말하면 길어지긴한데, 보통 의대 졸업하고 의사면허 취득하자마자 군대 가는 사람들이 보통 가게 됩니다.

  • §행복한 11월§ · 396936 · 13/01/13 20:43 · MS 2011

    그럼 군의관은 언제부터 가는거에요???

  • constellation · 73011 · 13/01/13 20:49 · MS 2004

    위에 언급한 공보의는 일종의 '공익'입니다. 따라서 명목상으로 '현역'에 해당하는 군의관보다 하위 개념이죠.
    의대졸업하자마자 군대가면 공보의로 간다
    >>인턴,레지던트 수련과정을 받지 않아서 임상경험 경력이 없다
    >>하위 인적자원으로 분류됩니다.
    (재수생이 대학 재학이 아니라, 그냥 고졸로 취급되서 상근예비역 많이 뜨는 것과 비슷한 원리)

    그래서 보통 인턴 이후부터(임상경력이 있으면) 군 복무를 하게되면 군의관으로 가게 되고
    임상경력에 따라서 중위,대위로 직급을 부여받게 됩니다.
    보통 레지던트 수련을 마치면 대위 군의관으로 가게 됩니다.

    물론 공보의가 군의관보다 QOL이 압도적이라는게 함은정입니다.

  • §행복한 11월§ · 396936 · 13/01/13 21:38 · MS 2011

    QOL이 머에요;;; ㅜ

  • 똘띠 · 358652 · 13/01/13 22:04 · MS 2010

    quality of life요

  • 닭트랭 · 426094 · 13/01/13 22:05

    constellatio 님께서 잘 말씀해주셔서 잘 듣고 갑니다.
    QOL은 Quality Of Life 입니다. 공보의가 더 편하게 생활할수있다는 말씀같네요

  • ★Nicola · 396936 · 13/01/13 22:43 · MS 2011

    군위관은 중위 ,대위로 가는데도 편하지 않은가요??

  • constellation · 73011 · 13/01/13 23:40 · MS 2004

    부대에서 군인도 아니고 의사도 아닌 애매한 포지션에 존재합니다.

    기간이 깁니다. (훈련9주+복무기간 36개월, 군의관 기준)
    그리고 다른 의무복무 전문 장교(ex.군법무관 24개월)보다 깁니다.

    20대 초반과 달리, 체력도 떨어지고, 좀 더 편한 생활에 익숙해져 있는 상태입니다.

    특히 중위 군의관(최근 군의관 부족현상으로 인해 일부 대위분들도)은
    GOP와 같은 최전방생활도 감내해야 합니다

  • rester · 69803 · 13/01/25 16:22 · MS 2004

    확실히 그 나이에 군복무 하기 힘들죠. 첨언하자면, 군법무관이나 학사장교 및 기타 전문장교(수의대 등)도 36 개월(훈련기간 제외) 입니다. 24 개월 복무는 rotc 정도밖에 없을 것 같네요.

  • ing · 5106 · 13/01/27 13:45 · MS 2002

    중위 군의관입니다.
    타 직별...그러니까 다른 군인들에 비해서는 편하기는 합니다.
    GOP나 병원급에서 일하는 군의관들은 그리 편하지만은 않을 수도 있고...
    하지만 공보의가 훨!씬!더! 편합니다.
    가장힘든 공보의와 가장 편한 군의관은 비교불가입니다.

  • ★Nicola · 396936 · 13/01/27 18:14 · MS 2011

    근데 공보의는 원한다고 갈 수 있나요???????

  • 십선비 · 398908 · 13/01/13 20:46

    삼수 이상이면 1년이라도 아끼는게 좋지않나요?

  • §행복한 11월§ · 396936 · 13/01/13 21:43 · MS 2011

    그쵸 ㅜㅜㅜ

  • ★Nicola · 396936 · 13/01/13 22:54 · MS 2011

    근데 멀 잘못해서 유급이 당하죠??

  • constellation · 73011 · 13/01/14 00:54 · MS 2004

    지금은 와닿지 않을수도 있는데, 졸업할떄보면 입학동기중에 20%정도는 곁에 없습니다.

  • 성공할 · 300099 · 13/01/14 12:50 · MS 2009

    예과땐 주변에 공부 시작한다 싶을 때 공부하면 절대 유급 안당해요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