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명을 하는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36516478
칼럼을 겸한 쪽지 Q&A 기록용입니다.
도움이 되시길.
Q. (학생의 질문)
"증명하는 과정이 수학에서 고난도문제를 대할 때 어떤 효력을 발휘하나요?"
A. (이승효의 대답)
증명이라는 것은,
교과서에 나와 있는 어떤 정리가
참이 되는 이유입니다.
예를 들어, 피타고라스 정리가 있죠.
그게 참인 이유가 증명이에요.
이걸 배우지 않은 상태에서
혼자서 증명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증명은 과거에 누군가
엄청나게 똑똑한 사람이 한 것이기 때문에,
그걸 우리가 짧은 시간안에 떠올린다는 것은 어렵겠죠.
그러한 증명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연결되면서
수학이 발전해 온 것이고,
고등학교 교과서는
그러한 연결에 의해서 만들어진 유기적인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수학1, 수학2, 미적분
순서대로 이어지는 것에는 다 이유가 있는 것이죠.
증명하는 과정이
수학에서 고난도 문제를 대할 때 어떤 효력을 발휘하는가.
1) 증명에는 발상이 있다.
고난도 문제를 풀어봤다면
알겠지만 여러가지 발상들이 필요합니다.
도형문제라면 어떠한 상황에서 보조선을 어떻게 긋는다,
함수의 식이 주어졌다면 어떻게 한다, 등등.
문제만 풀어온 학생이라면
이러한 발상을 문제를 풀어야
배울 수 있는 거라고 생각하겠지만,
사실 수능에 나오는 모든 발상은
교과서 증명 안에 다 들어있습니다.
그것을 바탕으로 수능 문제를 출제하니까요.
제가 오늘 쓴 글에서 미분을 MRI에 비유했는데,
글 중간에 보면 MRI검사를 수백명 해보면서
인체의 신비를 깨달아가는건 어려운 일이라고 했죠?
증명을 배운다는 것은 마치
살아있는 인간을 배우기 전에
해부학을 배운다는 것과 같습니다.
이미 과거에 다른 사람들이 발견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교과서적인 원리들을 먼저 배우는 것이지요.
따라서 교과서 정의, 정리, 증명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기출 문제를 풀게 되면,
문제마다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풀면서 교과서 내용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지요.
그러한 과정을 기출 분석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기출을 보기 전에
교과서 내용을 정확히 알고 있는건 매우 중요해요.
2) 증명에는 정의가 있다.
증명을 해야 하는 두번째 이유.
미분가능한 함수는 연속함수이다
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나요?
이건 실력지상주의 1주차에서 수업한 내용인데요.
대부분의 학생은 이걸 증명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미분가능한 함수와 연속함수의
정의를 정확히 모르거든요.
느낌으로만 알고 있고 식으로 정확히 표현할 수 없다면,
매우 쉬운 한줄짜리 증명임에도 불구하고 할 수 없습니다.
그럼 정의를 알고 있는 것이 왜 중요한가,
예를 들어 어떤 함수가 미분가능함을 보여라,
라는 문제가 있을 때 대부분 학생은
1.연속이다. 2.좌미분계수=우미분계수가 같다.
라는 순서대로 문제를 풉니다.
이건 아주 대표적인 잘못된 풀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정의를 잘 모르기 때문이구요,
저렇게 풀리는 3점짜리 문제는 문제가 없는데
4점짜리 문제로 가게 되면 해결이 안되는게 생겨요.
문제풀이의 접근방법은 반드시
정의->정리 순서대로 나아가야 하는데,
오개념으로 풀다보면 접근 자체가 안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3) 증명에는 논리가 있다
증명을 해야 하는 세번째 이유.
직접 증명을 써보면 알겠지만,
아는 내용이라도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쉽지가 않습니다.
그건 학생들이 아직 논리적 사고력
또는 표현력이 부족하기 때문이죠.
교과서에 있는 증명들은 매우 간결하면서도 논리적입니다.
복잡한 증명은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오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데,
그걸 자신이 직접 해보는건 쉽지 않아요.
강사가 설명하는 내용을 들으면 이해는 되지만
똑같이 설명해 보라고 하면 쉽지 않은것과 같은 이유입니다.
즉, 논리적 사고력을 키운다는 것은 다른게 아니고,
연습입니다.
수학은 그것을 연습하는 학문이에요.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미적분이 쓸모가 없을 수도 있고
대부분의 성인은 수학을 잊어버리지만,
중학교까지만 다닌 사람과 고등학교까지 수학을 배운 사람이
논리적 사고력에서 차이가 나는 것은 수학적인 연습을 했기 때문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5명이 빠져?
-
수1 - 내신인가 수2 - 재밋음 확통 - 개념배울때행복 기출풀때 돌연사 미적분 - 이게맞나
-
저는 중앙대로 반수할려구요 ㅠ.ㅠ 의대아님안가는분의의의지를이어받을게요 ㅠㅠㅠㅠㅠ
-
하나 만들까요
-
수능에 대한 지능(iq)의 영향은 어느 정도인가, 과거부터 여러 말들이 있었던것...
-
카이스트 갈거면 설공 가면 되는거 아닌가
-
대 이 스 트 1
ㄹㅇ
-
설의 버린 사람은 이제 메디컬 쳐맞을걸 예견한거 아닐까? 0
의치한약수 다 쳐맞을텐데 앞으로
-
설팽카좌시여… 0
-
이게말이되나??
-
여기 점공보실수있는분 계신가요ㅠ
-
3시간 꽉 채우나요? 지금 30분밖에 안 지났는데 넘 지루하네염..
-
설의 버리고 카이 11
당장 카뱃을 주섬주섬
-
Goat 우리나라 과학 기술 발전에 힘써주세요
-
본인 고대공대 1칸합 동생 교대 2칸합 친구 서울대공대 아마도 cc 3칸합 ㅁㅌㅊ?
-
지갑을 사야겠음..ㄹㅇ 지갑 개꼬질거리네
-
카이스트 갈거면 걍 설대 일반과 가지 왜???? (카이스트 무시 아닙니다))
-
제주의.단대치대 멏번까지 추합되었는지 아시나요? 부탁드립니다
-
와 뭔일이지 0
ㄷㄷㄷㄷ
-
약대는 졸업하면 의대랑 다르게 전문의 이런 거 안해도 되나요?
-
이동건같은사람이 과외하다 수능 한번 더 보면 설의 추합이 돌지않을까 근데 진짜 왜도냐
-
와
-
420.6
-
설의추합이면
-
궁금해서 봤는데 진짜 일반 한 명 돌았는데요??
-
ㄹㅇ로 기분개째질듯
-
설의는 왜 돌지 3
어디로 갈 수 있지 설공도 아닌디? 이미 설의여서 수능 한 번 더쳤는데 또 설의 붙은걸꺼
-
설의 추합 1명 돌았음
-
예?
-
평백 88기준(22333)으로 건동 이과는 갈 수 있는 곳이 아예 없는 수준인거...
-
서울대 떴냐?! 5
'조국의 미래'
-
에리카 단대 3
에리카랑 단대 붙었는데 과는 둘다 건축공학과 입니다. 어디 가는게 나을까요? 거리는...
-
고려대 2차 추합 조기발표 가능성 있나요??
-
속보 설의 추합돌았음 12
????
-
현역 때 수능 등급이 33234였고 재수해서 43223 맞고 충남대 경영학과에...
-
남자친구나 남사친이 데이트나 소개팅 술자리에서 이렇게 입고오면 호인가요 불호인가요...
-
중앙대 약학대학 신입생 카페 가입 안내 안녕하세요,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제 41대...
-
아이디어 따라가는데 문제 없나요?
-
AI 위조 목소리로 학폭 신고한 10대 여학생, 무고 혐의 입건 3
[서울=뉴시스] 오정우 기자 =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통해 위조한...
-
느낌어떰
-
병원 너무 더워 0
찜질방인줄... 너무더워... 옷 얇게입엇는데더워
-
언제발표함....
-
첫 정답자 2000덕 드리겠습니다!
-
한명도안빠지네 0
시발...
-
소화시키기
-
난 여르비임 1
저를 여왕벌이라고 욕해주세요
-
. 2
-
안정카드 어서오고
hoxy... 새로운 npc의 탄생...?
헉 진짜네
증명은 그럼 독학하고 싶으면 학교에서 썻던 교과서로 하면 될까요?
네~ 교과서에 다 나와있고 독학이니까 설명이 필요하면 유튜브 검색해도 나올거에요.
선생님 칼럼보면서 항상 많은 도움 받고가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그러면 미분가능성은 어떻게 해야 맞는 풀이인가요?
미분계수가 존재하는 것을 미분가능이라고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