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s [473988] · MS 2013 · 쪽지

2014-06-18 21:19:53
조회수 1,778

[오희엽 국어] 짜임에 따른 시상 전개(13)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4638768

숨이 콱콱 막힐 때가 있다.

온몸이 온통 진흙으로 더럽혀 질 때가 있다.

 

숨이 막혀도 가기로 한 길은 가야 하는 것이고

꼴 사나와도 가야할 길은 가야 한다.

 

 

1. 기승전결 방식

 

시인은 시에서 자신의 정서나 생각을 일정한 방식에 따라 전개해 나가는데 이러한 방식을 시상 전개방식이라고 한다.

 

기승전결식은 주로 한시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종종 현대시에서도 차용해 쓰이고 있다. 이 방식은 4단계 구성으로 기(起)에서 시상을 도입하고, 승(承)에서 시상을 발전시켜 나가다가, 전(轉)에서 시상의 변화 또는 전환을 시도한 다음, 결(結)에서 시상을 마무리하는 방식이다.

 

 

雨歇長堤草色多 비 개인 언덕에는 풀빛 짙은데,

우 헐 장 제 초 색 다

送君南浦動悲歌 그대를 보내는 남포엔 슬픈 노래 울려 퍼지네.

송 군 남 포 동 비 가

大同江水何時盡 대동강 물은 그 언제 마를 것인가.

대 동 강 수 하 시 진

別淚年年添綠波 해마다 이별 눈물 푸른 물결에 더하는 것을.

별 루 년 년 첨 록 파

-정지상,

 

위 한시는 자연 현상과 인간사를 대비하며 이별의 슬픔을 극대화하고 있는 작품이다. 1구에서 싱그러운 자연의 생동감을 표현한 후 2구에서 슬픈 이별의 노래를 부르고 있는 화자의 상황을 드러내었다. 3구에서 대동강물이 마르지 않는 상황을 설의적 의문으로 제시한 뒤 4구에서 과장적 표현을 통해 그 이유를 밝히고 있다.

 

 

2. 선경후정식 시상 전개

 

선경후정(先景後情)식은 앞부분에서(先) 사물의 모습이나 자연의 풍경(景)을 그리듯 보여주고, 뒷부분

에서(後) 화자의 정서나 생각(情)을 드러내는 방식이다. 이 방식도 원래 한시에서 많이 쓰였고, 시조를 거쳐 현대시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벌레 먹은 두리기둥, 빛 낡은 단청(丹靑), 풍경 소리 날아간 추녀

끝에는 산새도 비둘기도 둥주리를 마구 쳤다.

큰 나라 섬기다 거미줄 친 옥좌(玉座) 위엔 여의주(如意珠)

희롱하는 쌍룡(雙龍) 대신에 두 마리 봉황새를 틀어 올렸다.

 

어느 땐들 봉황이 울었으랴만 푸르른 하늘 밑 추석( 石)을

밟고 가는 나의 그림자. 패옥(佩玉) 소리도 없었다. 품석(品石) 옆에서

정일품(正一品), 종구품(從九品) 어느 줄에도 나의 몸 둘 곳은 바이

없었다. 눈물이 속된 줄을 모를 양이면 봉황새야 구천(九天)에

호곡(號哭)하리라.

-조지훈,

 

윗시는 앞부분에서 퇴락한 궁궐 모습의 묘사를 통해 몰락한 조선 왕조와 국권의 상실을 간접적으로 암시하고 있으며, ‘어느 땐들’부터 마지막까지는 그것을 바라보며 느끼는 화자의 비통한 정서를 표현하고 있다.

 

 

3. 수미상관식 시상 전개

 

수미상관식은 시의 처음 부분과 마지막 부분을 유사하게 구성하여 시에 형태적 안정감과 균형미를 주는 방식이다. 처음과 끝에 유사한 시구가 반복되므로 운율의 형성과 더불어 의미나 정서의 강조도 이루어진다. 우리 현대시에서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방식으로 수미쌍관 혹은 수미상응이라고도 한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김영랑,

 

윗시는 유사한 시구를 시의 앞뒤에 배치하면서 구성의 안정감과 더불어 화자의 간절한 기다림을 강조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마지막 행의 ‘찬란한 슬픔의 봄’을 통해 ‘모란’의 낙화와 개화가 함축하는 상실의 비애감과 희망의 기다림을 절묘하게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 선지의 속살

 

수능에서는 시상전개와 함께 그 효과를 묻는 문제가 주로 출제되고 있다.

 

➊첫 연과 끝 연을 대응시켜 화자의 정서를 심화하고 있다. (2008년도 수능)

➋(가)~(다)는 선경후정의 방식을 사용하여 주제를 드러내고 있다. (2011년도 3월 서울시교육청)

 

1. 첫 연과 끝 연을 대응시키는 수미상관법을 사용했다면 첫 부분에 나타났던 화자의 정서가 마지막 부분에서 반복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정서의 심화’ 또는 ‘정서의 강화’가 이루어진다.


2. 앞에서 경치를 보여주고 뒤에서 정서를 드러내는 방식을 ‘선경후정’이라 한다. 주로 뒷부분 ‘후정’을 통해 주제를 드러내고 앞부분 ‘선경’과의 대비 또는 조화로 주제를 더욱 부각하기도 한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