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롤롤리 [462724] · MS 2013 · 쪽지

2014-10-01 13:13:15
조회수 1,251

작년 화학 19번문제 도저히 이해가안가요 ㅜㅜ화학신님들 구제해주세요ㅠㅠ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4915390

왜 오른쪽 생성물의몰수에 o2의 몰수는 무시하는건가요?
다른분들은 양쪽에 어차피 똑같은 양이 포함되어있다고하는데
어떻게 똑같은 양이죠?
왼쪽에는 예를들어 10개있으면 오른쪽은 반응해서 더적은 산소가 있게 될텐데요..
이해가안감미다. 살려주세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똥머리 · 440596 · 14/10/01 13:59 · MS 2013

    산소가 100개인데 40개가 반응에 참여해서 없어졌다쳐보죠.
    60개는 그럼 구경꾼이온처럼 같이있기만한겁니다
    그러므로 전체 몰수가 반응 후에도 같아질려면 반응식에서 반응물과 생성물의 계수의 합이 같아야하죠

  • 하롤롤리 · 462724 · 14/10/01 22:19 · MS 2013

    정말 감사하지만, 머리가빠가라서이해가안가요 ㅠㅠ
    제가 이해가 안가는건 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오른쪽 생성물에 60개 구경꾼 산소몰수를 더해줘야 하는데 왜 더해주지 않죠ㅠㅠ
    왼쪽에는 산소 100개몰수가포함되어있을텐데요 ㅠㅠ

  • 하롤롤리 · 462724 · 14/10/01 22:59 · MS 2013

    아아아!! 알것같에요 근데 이거제가 잘 이해한건지 모르겠네요 님말씀대로 왼쪽상자에 산소 100몰까지포함해서y몰있었다고 치면 오른쪽 산소는 구경하는놈이 60개 있는상태잔아요?
    그럼 오른쪽에서남는산소 60몰빼버리고 왼쪽에서도 똑같이 60빼버리면 y-60=y-60 이렇게생각해서 같다고하는건가요?!
    저 지금 이틀째 이거고민한거여서 떨려요맞는지 ㅠㅠ

  • chemi · 59788 · 14/10/01 14:43 · MS 2004

    반응전의 몰수와 반응 후 반응 하지 않은 몰수를 포함하여 몰수가 같다는 조건입니다. 이런 경우가 매우 특수한 경우인데 이런 경우 반응식에서 반응물의 계수의 합과 반응 후의 계수의 합이 같을 때 이런 경우가 나타납니다. 매우 특이한 경우입니다.
    계수를 맞추어 보면 반응물의 계수의 합이 반응후의 계수의 합과 같이 나옵니다.
    이런 경우도 있구나 하고 알아두면 좋을 것입니다.
    2014년 6월 시행 평가원 20번 문제도 같은 경우 입니다.
    A + B = 2C, 반응 전의 계수의 합과 반응 후의 계수의 합이 같아요.

  • 하롤롤리 · 462724 · 14/10/01 22:40 · MS 2013

    닉값...감사합니다.
    이거 그냥 원리 모르고 외워도 될까요?

  • 유병훈 · 525254 · 14/10/03 22:46 · MS 2014

    Ebs해설 강의 들어보세여

  • 유병훈 · 525254 · 14/10/03 22:47 · MS 2014

    Ebs해설 강의 들어보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