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삼수 [565726] · MS 2015 · 쪽지

2015-04-30 17:15:42
조회수 4,700

지구과학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5932966



해륙풍이 불 때 높이에 따룬 기압 분포에 관한 것인데요.

그림 중 낮의 기압 분포를 찾는 것인데
낮에는 비열이 작은 육지부분이 저기압이 될 것이고 따라서 등압선이 1000hpa 위쪽으로 표시되어야 하지 않나요??(위쪽으로 갈 수록 기압이 낮으니까)

실제로 산곡풍 그림에서도 햇빛을 많이 받는 부분은 저기압이니까 등압선이 위쪽으로 올라갔는데
해륙풍 같은 경우 낮에 육지가 저기압일때 등압선이 1000hpa 아래쪽으로 그려지네요
이유가 뭔가요??

그리고 등압선은 1000hpa 말고도 여러개가 있는데 어딜 기준으로 위쪽에 있다 아래쪽에 있다표현하는건지 모르겠어요.


즉 해설에 '(나)의 등압선을 보면, 같은 고도에서육지 부근은 바다보다 등압선 위쪽에 위치하여 기압이 바다보다 낮은 상태'
이부분이 이해가 안돼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JD-L · 290678 · 15/04/30 18:32 · MS 2009

    기압이라는건 같은 고도에서 봐야 의미가 보이실꺼에요. 저 그림에서 세로선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높이 선을 그어보세요. 그리고 등압선이랑 같이 보세요. 햇갈리는게 없어질겁니다.

  • 독재삼수 · 565726 · 15/04/30 18:37 · MS 2015

    같은 고도에서 보면 그 부분에서 등압선이 안그려진 부분이 있는데 이건 어떻게 해석 해야하나요?
    으 글로만 말하려니...ㅠㅠ

  • JD-L · 290678 · 15/04/30 18:39 · MS 2009

    물리에서 자기선속의 간격이 좁을 수록 자기력이 센 것처럼

    저기 등압선 사이의 간격이 클수록 천천히 압력이 변한다는 것이고 좁을수록 급하게 압력이 변한다는 것이겠지요.

    등압선이 안그려진 부분은 한번 그려진 부분과 평행하게끔 그려보세요.

    같은 높이만큼 올라갈 때 넓은 부분과 좁은 부분의 등압의
    dp/dh 가 어떻게 변하는 지를요.

  • JD-L · 290678 · 15/04/30 18:40 · MS 2009

    안그려진 부분은 그리면되죠. 저걸 5 hpa 간격으로 그리던지 1hpa 간격으로 그리던지;; 안그렸다고 그부분의 기압이 없는건아니잖아요. 생략된거지.

  • 독재삼수 · 565726 · 15/04/30 18:47 · MS 2015

    오 완전 이해됐어요! 감사합니다~~
    알고나니까 확실히 멍청한 질문이었네요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