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동 [309234] · MS 2009 · 쪽지

2015-10-02 19:05:54
조회수 10,257

[승동] 평가원의 'In fact'는 무조건 순접인가?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6593510

오늘은 짧은 칼럼이고, 이전에 과외생에게 설명해준 내용입니다.


인터넷 글들을 살펴보면 평가원에서 In fact를 순접으로만 사용한다고 아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In fact는 순접이라는 말의 진실 여부를 파악해보고자 쓰는 글입니다.

1. In fact의 사전적 의미

영영사전(맥밀런 기준)에서 In fact의 의미는 총 두개입니다.
1) used for saying what is really true, when this is surprising or different from what people think
2) used when you are adding something to what you have just said, especially something surprising.

의미는 총 두개입니다. 문맥에 따라 순접으로 사용되거나 역접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여지는 존재함을 알 수 있습니다.

2. '주로' 순접이다.

두 개의 평가원 예문을 봅시다.

1. This is because the spaces between the sounds provide a baseline and contrast for the piece, and give music structure and texture. In fact, it is a common saying among experienced musicians that a full measure of rest can hold more music than a full measure of blistering notes.

2. Another result of stopping food deprivation was that these sea lions grew and grew! In fact, they became bigger than most trained sea lions in the past, which weren’t given enough food.

두 문장에서는 In fact는 순접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In fact 뒤 문장이 In fact 앞 문장에 대한 내용을 부연설명해주고 있는 구조입니다.

3. 역접으로 사용될 때는 역접의 근거를 준다.

1. We can no more escape than we could escape an infectious disease. In fact, however, the effects of art are neither so certain nor so direct

 위 문장 역시 평가원 문장입니다. 사전적 의미 1번에 가까우며, 앞 내용과는 실제 다르다는 내용을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이 때, In fact 뒤에 however가 들어가 역접 의미를 분명하게 해줍니다.


그렇다면, 역접 접속사가 있으면 In fact가 역접으로 쓰인다! 고 마음 속에 정해놓은 분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그렇지 않습니다.

2. He spent hours collecting data that he thought would help him improve. In fact, a good 25 percent of his athletic time was devoted to externals other than working out.

15년도 6월 평가원의 문장입니다. 위 문장에서는 역접의 의미를 보충해주는 접속사가 없어도 역접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In fact의 사용은 평가원에서는 순접이다! 가 아니라 문맥에 따라 순접/역접으로 사용됩니다.

4. 접속사 문제(34번-(A)/(B) 빈칸)에서는 어떻게 쓰이는가?

우선 옛날 기출문제(06 수능 38번)에 In fact가 출제된 적이 있습니다.
기출문제 내용을 보여드리겠습니다.

When you clean our your storage room, don't throw out any "junk" until you determine its potential as a collectable. (A), what often appears to be a piece of worthless old junk may very well be quiet valuable.

(A)빈칸에는 In fact가 정답이였습니다. 이 때 문맥상 In fact는 앞에 junk을 버리지 말라는 내용을 보충설명해주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이 문제만을 가지고 'In fact=순접'이라는 공식을 만드시면 안됩니다. 왜냐하면 위에서 설명했듯이 구문에서 In fact가 역접 기능도 하였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In fact가 접속사 추론 문제(빈칸추론)에 출제될 가능성이 적기도 합니다 :->

정리를 하자면, 'In fact는 기출에서는 순접으로 출제된 적이 있다. 그러나 문맥상 순접/역접 기능을 둘 다 하므로 순접으로만 암기하지 말자!' 입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녹즙기 · 454591 · 15/10/02 19:10 · MS 2013

    논리성을 따지는 문제에서 답의 근거가 될만한 상황에서는 거의 순접 -이명학

  • 승동 · 309234 · 15/10/02 19:12 · MS 2009

    글을 끝까지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녹즙기 · 454591 · 15/10/02 19:13 · MS 2013

    글 끝까지 읽었는데요..?

  • 승동 · 309234 · 15/10/02 19:18 · MS 2009

    이 글의 내용은 In fact의 사용은, 문맥을 파악하자 입니다.

    실제 접속사 문제에서는 순접으로 출제된 적이 있으며, 위 지문에서 올린 역접으로 쓰인 경우에는 빈칸추론 문제입니다 ^^;

    따라서 In fact=순접 으로 암기하는 것은 사실상 좋은 학습은 아닙니다. 빈칸추론의 지문에서도 역접으로 사용이 되엇듯이, 특히 구문에서 그렇게 암기하는 것은 상황에 따라 독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행여라도, 평가원이 In fact 뒤에 빈칸을 낼 경우 선택지를 명확히 출제하거나 뒷 문장에 명확한 논리적인 근거를 줄 것입니다. 행여 논리적인 근거는 역접인데 순접으로만 알고 있으면 문제풀이에 모순이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물론, 올해 수능은 그런 식으로 나올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최근 In fact가 접속사 빈칸에서 출제되지 않는 이유도 순/역접 둘 다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제 댓글로 글의 이해가 명확해 졌으면 좋겠습니다. 답글 다신 댓글 내용은 글의 내용은 고려하지 않고 이명학 선생님만의 의견을 관철하신거 같아서 조심스럽게 적어봅니다(물론 이명학 선생님은 실력이 정말 뛰어나신 분이며, 저 역시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제 생각에는 학생들이 혼란을 가질까봐 In fact에 대해 정리를 해주신거 같은데 이걸 순접으로 암기하는 역효과가 생긴거 같습니다.)

  • 승동 · 309234 · 15/10/02 19:29 · MS 2009

    또한 제가 댓글을 단 건 녹즙기님을 비하하고자가 아니라, 제 글을 읽는 다른 분들도 글을 이해하길 바라며 단 것입니다. 양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수험생에게 도움되고자 쓴 글 때문에 오히려 기분 나쁘셨다면 사과의 말씀 드립니다. 그리고 이 글로 도움을 받았으면 하는게 제 마음입니다.

  • 포름산 · 588070 · 15/10/04 19:33 · MS 2015

    이명학이 영어만들었어요?
    글을써줘도 특정쌤만믿고 삐딱하게받아들이시네요.
    수특,수완에 역접으로 쓰이는지문있어요
    님 수능때 이지문들나오면 골로가실듯?

  • 덴마크 · 440898 · 15/10/02 19:35 · MS 2013

    +은선진

  • 서강대영문16 · 576378 · 15/10/02 23:38 · MS 2015

    한번도 역접으로 나온적없다고 일침.

  • 승동 · 309234 · 15/10/02 23:47 · MS 2009

    제가 든 예시 기출도 순접으로 출제되었습니다.

    그런데 평가원 구문에서 순접으로만 쓰인다는건 아닙니다. 이 글의 내용이고요.

  • 서강대영문16 · 576378 · 15/10/04 22:08 · MS 2015

    죄송합니다 .. 기분나쁘게 들릴의도는 전혀없었는데 다시보니깐 너무 죄송하네요 .. 너무 명학빠됬었나봐요 아무튼 좋은 글 감사합니다 ㅎㅎ

  • 16훈남 · 575531 · 15/10/02 19:29

    순접맞는데

  • 승동 · 309234 · 15/10/02 19:41 · MS 2009

    역접 예시로 든 예문 중 어느 부분인지 지적해주시면 보완하도록 하겠습니다!

  • 16훈남 · 575531 · 15/10/02 19:42

    By 이명학,고정재

  • 승동 · 309234 · 15/10/02 19:47 · MS 2009

    두 강사님들 모두 훌륭하신 분이며, 저도 그렇게 학습하는게 틀리다 생각하지 않고 위에서 언급했듯이 In fact가 순접으로 출제된 기출은 존재합니다.

    하지만 사전적 의미를 넘어 최근 구문등에 역접 의미로 분명히 사용되고 있으니, 순접으로만 암기하지 말자가 이 글의 핵심입니다.

    기출된 예문을 들어 설명했으나, 필력이 부족하다보니 오해가 생긴거 같네요 앞으로 수험생에게 도움을 주는 글은 좀 더 가독성 있게 쓰도록 하겠습니다

  • 수의대ㄱㄱ · 410578 · 15/10/04 20:51 · MS 2012

    니가틀렸는데

  • Praha · 441451 · 15/10/02 19:46 · MS 2013

    영어라는 언어 자체가 무조건이라는 표현을 갖다붙이면 대부분 틀리죠. 언제나 문맥 보면서 가야함

  • 승동 · 309234 · 15/10/02 19:48 · MS 2009

    맞습니다! 쉬운 수능 체제여도 문맥을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 Praha · 441451 · 15/10/02 19:55 · MS 2013

    한 단어가 뜻이 서로 정 반대인 경우도 있는데...

  • 승동 · 309234 · 15/10/02 19:57 · MS 2009

    Sanction 말씀하시는거죠?ㅋㅋ! Permission과 Restriction의 뜻을 가지고 있는 어휘죠~

  • Praha · 441451 · 15/10/02 19:58 · MS 2013

    여러개 있던거로 기억해요 ㅋㅋ 되게 오래전부터 여기서 봤던거같아요 승동님 언제나 좋은 글 자주 올려주셔서 기억남

  • Fiction · 527484 · 15/10/02 19:59 · MS 2014

    apparent도 해당되지않나요?

  • 독한재수생 · 549577 · 15/10/05 03:55

    compromise도요!

  • Fiction · 527484 · 15/10/02 19:46 · MS 2014

    인수 중에 외향적인 사람 또는 내향적인 사람이 반드시 항상 일관된 행동을 보이는것은 아니라는 지문에 역접으로 쓰인게 있어서 의아했는데 이제 이해가가네요

  • 승동 · 309234 · 15/10/02 19:48 · MS 2009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 치킨받으러옴 · 601308 · 15/10/02 19:54

    같은 말을 해도 굳이 기분나쁘게 하는 사람들이 있네요..

    승동쌤 파이팅

  • 훈이갓 · 577314 · 15/10/03 00:54 · MS 2015

    언급은 안하겠지만 저 위에 댓글다신분들중에 정말 눈쌀찌뿌려지게 하는 댓글들이 보이네요..

  • MUCHO GUSTO · 593233 · 15/10/02 19:57

    명학쌤, 정재쌤 모두 다 in fact라는 접속사는 순접으로 쓰인댔죠 '접속사' 문제에 국한해서요.
    승동쌤은 이 접속사가 구문에서 쓰일때 역접으로 쓰이는 사례가 많아 알려주시려 칼럼 쓴 것이고요. 실제로 in fact는 반전시키는 접속사로 아주 많이 쓰입니다.
    평가원도 이걸 알기 때문에 in fact는 출제를 잘 안하려 하겠죠.
    접속사 문제에 in fact가 나온다면 순접으로 푸시고, 독해에서 접할때는 두가지 다 흐름으로 파악하라고 '이명학'쌤께서도 말씀하셨는데,
    위의 분은 이 글을 잘 읽으신건지 무조건 이명학쌤말이 옳나요??? 배운 것도 잘못 기억하시는 것 같은데 말투 매우 공격적이시네요;;;;

  • 또쟁이 · 595635 · 15/10/02 19:58 · MS 2015

    간간이 올려주시는 자료보면서 많이도움받아요 ㅎㅎ 감사합니다~~~

  • 락바라기 · 509101 · 15/10/02 19:58 · MS 2014

    이번 9평 34번에서 (A)의 선지를 1,3번 바꾼다면 3번이 답이될수 있는거죠??

  • 주일무적 · 603650 · 15/10/02 20:02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치카치카붐 · 563616 · 15/10/02 20:03 · MS 2015

    그냥 해석할떄는 "사실은~"이라고 읽어 나가면 되는거 아닌가요?

    요약해서 재진술 할수도 있고,반전이 일어날수도 있고

    글의 맛을 살려나가면서 있는 그대로 읽다보면 해석 되지 않을까요

  • 승동 · 309234 · 15/10/02 20:05 · MS 2009

    네 문맥을 파악하면 됩니다 : ) 순접으로만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아서 글을 적었습니다.

  • 2016으로끝 · 308120 · 15/10/02 20:03

    승동님의 설명 감사합니다
    뭐 저도 명학쌤 빠돌이고 in fact는 논리성글 등에서 순접으로 쓰인단 말 많이 듣고 적용하곤 하지만 글이란 사람이 쓰는거라 획일적일 순 없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평가원 문제 풀땐 언제나 순접으로 생각한다능...

  • 승동 · 309234 · 15/10/02 20:06 · MS 2009

    평가원 구문에서는 '역접'도 있습니다~
    순접, 역접 등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접속사로는 잘 출제가 안되고요. 예시로 든 문제는 06수능입니다ㅋㅋ

  • 별헤는밤 · 523373 · 15/10/02 20:59 · MS 2014

    원래 둘다되는거라 사설같은데서 in fact나오면 왠만하면 고르고 시작하는데...

  • 판사 · 514663 · 15/10/02 20:08 · MS 2014

    그냥 오르비언들께)In fact는 역 순 전부 된다고 합니다. 듄지문이나 평가원에서도 얼마든지 역 순 모두 나온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기출문제중에서 빈칸, 연결사문제나 순서배열같이 논리성이 다분한 문제인데다가 (뒤에가 더 중요합니다) @"답을 결정하는 중요한 위치"@인 경우에 아주 포커스를 국한시켜보면 "지금까지는" in fact는 순접입니다.

    뭐 엿먹어봐라 하고 올해 역접으로 내도 할말은 없습니다. @"문맥상"@in fact가 역접으로도 쓰일 수 있으니까요

  • 승동 · 309234 · 15/10/02 20:10 · MS 2009

    네 글 내용과 동일한 말입니다! 내용 전달해주셔셔 감사합니다!

  • 판사 · 514663 · 15/10/02 20:12 · MS 2014

    항상 올려주시는
    자료 감사히 먹고있습니다

  • 황키 · 415210 · 15/10/02 22:49 · MS 2012

    문맥을 타서 연결사빈칸 뒤쪽또한 전체적으로 아울러서 답을 내면되는거겠죠??

  • 승동 · 309234 · 15/10/02 23:12 · MS 2009

    네 앞과 뒤를 전체적으로 아울러야 합니다!

  • 일더하기일 · 508868 · 15/10/03 14:57 · MS 2014

    판결ㅋㅋㅋ

  • 돈베베 · 369643 · 15/10/02 20:18 · MS 2011

    감사합니다 센세!! 이솔루션이랑 이비에스로 수능 대비하고 있는데 매번 감사합니다 ^^~

  • 승동 · 309234 · 15/10/02 23:53 · MS 2009

    제가 더 감사하죠ㅎㅎ

  • asos · 478820 · 15/10/02 20:22 · MS 2013

    In fact 가 쓰이면 대체로 정답일 확률이 높음 -심슨센세

  • 볼살도감 · 596095 · 15/10/02 21:14 · MS 2015

    심슨센세 개좋음

  • 짱수생 · 487766 · 15/10/02 20:23 · MS 2014

    이명학쌤은 문제화되는부분에 한해서 in fact가 순접이라는거지
    충분히 해석하는데 순접 역접 다 알아둬야한다고하셨거늘..
    승동님이 틀린말한게 전혀아닌데..
    저런식으로 빠가 까를 만들지..ㅠㅠ

  • wiggle · 535857 · 15/10/02 20:31 · MS 2014

    맞아요ㅇㅇ 그 자체가 크리티컬한 지점에서 순접이지 그 외에는 역접도 쓰일 수 있다고 하셨죵+_+

  • 볼살도감 · 596095 · 15/10/02 21:14 · MS 2015

    제목보고 여기서 이명학얘기하는 사람 있을 것 같다 생각 들었는데 첫댓글이네 사스가 대성 마르비

  • ㅎㅁㅎㅎ · 521150 · 15/10/02 21:26 · MS 2014

    순서나 위치 수능문제 채점하면서 ㄷㄱㄹ 한 번 깨져봐야 틀에 박힌 사고가 얼마나 위험한지 깨닫겠죠?

  • 광D버기 · 601215 · 15/10/02 21:38 · MS 2015

    이명학이 영어 만들었나ㅋㅋ

  • F180 · 533334 · 15/10/02 21:48 · MS 2018

    (EO공감 수완) 여기서는 in fact가 however의 의미로 쓰였어요 - 이명학

  • 국홍 · 477477 · 15/10/02 22:14 · MS 2013

    명학쌤 이야기 하지 말지 ㅠㅠ 만든사람 힘빠질듯 해요

  • 수깡 · 583831 · 15/10/02 22:30 · MS 2015

    결국 문맥~~

  • 설자겸 · 583732 · 15/10/02 22:57 · MS 2015

    이명학이 누구에요? 당연히 인펙트 영영사전 안보더라도 순접역접 다쓰이는거 상식 아닌가

  • 덴마크 · 440898 · 15/10/02 23:00 · MS 2013

    둘다 쓰이는데 평가원에선 순접으로만 나온다

  • 승동 · 309234 · 15/10/02 23:01 · MS 2009

    평가원 구문에서 역접으로 사용된 적이 있다는게 이 글의 내용입니다.

  • 포시즌 · 502888 · 15/10/02 23:12 · MS 2014

    그건 연결사유형만 그런거아닌가요

  • 훈이갓 · 577314 · 15/10/03 00:56 · MS 2015

    이명학선생님이 아니라 그분으로 추종하는 꼰대제자들이 문제 ㅇㅇ

  • 동엽신 · 439425 · 15/10/02 23:13 · MS 2018

    왜이렇게들 독을 품고 계시는지...문맥 보고 in fact 파악하자는게 그렇게 잘못된겁니까...

  • 수능만점궤도오르자 · 582500 · 15/10/03 00:01

    유교의 나라답게 선조들이 주자학 양명학 고증학 나눈 것 처럼!

  • Meister · 411696 · 15/10/03 00:32 · MS 2012

    ㄹㅇ ㅋㅋㅋ

  • asos · 478820 · 15/10/02 23:14 · MS 2013

    애초에 In fact를 왜 순접으로만 끌고가는지 전혀 이해가 안되네요

  • 포시즌 · 502888 · 15/10/02 23:14 · MS 2014

    역접으로 해석될때 상당히 많고 이명학선생님도 연결사문제에서만 보통 순접이라고 가르치는데 학생들이 왜곡을 하네ㅋㅋ

  • zicvn3kzn2 · 445031 · 15/10/02 23:17 · MS 201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ddokdori · 498876 · 15/10/02 23:47

    리로직에서도 언급하는내용인데 굳이 여기서이러시네 다들.. 강의도 자기가듣고싶은거만 들으시는듯;; 연결사문제로나올땐 오답시비 문제가있으니 굳이껄끄럽게시비안만들려고 in fact가 연결사문제로나왔을땐 순접으로 처리해도무방하다 라는거지 순접도 역접도 다있다라고 분명히 설명하셨는데 .. 애꿎은 바보같은 제자덕에 이명학강사만 잘못가르쳤다고 욕먹게생겼네요

  • 승동 · 309234 · 15/10/02 23:52 · MS 2009

    오히려 많은 댓글들이 달리는 것이 저를 포함해 수험생들에게 좋습니다.
    너무 공격적이면 안되지만, 대화 과정을 통해 학습이 가능하다 생각하거든요 :)

  • ddokdori · 498876 · 15/10/03 00:43

    좋은칼럼 올려주시는데.. 수고많이하십니다..ㅠㅠ 이쏠이랑 SD다 잘풀었어요 감사해요

  • SNU_m · 458401 · 15/10/03 18:57 · MS 2013

    ㅇㄱㄹㅇ 분명히 논리를 결정짓는 부분에서는 순접으로 쓰이나 다른 부분의 구문에서는 역접으로 쓰이는경우도 있다고 가르쳤는데. .

  • 볼살도감 · 596095 · 15/10/03 07:59 · MS 2015

    어차피 요즘같은 수능에서 in fact 정도는 그냥 뭉개고 넘어가도 답 내는데는 아무 지장없음 어차피 답 내는데 지장없다면 해석이고 나발이고 관심없음

  • 개꿀팁 · 486736 · 15/10/03 08:29 · MS 2014

    좋은글 감사합니다. 저도 고3때 이민규쌤한테 infact에 관해서 질문했던게 생각나요ㅋ
    과외를 진행하다보니 크게 문제 없는 부분들 맥락으로 처리가 가능한 부분들은 간단하게만 공부할 내용이 최대한 적게만 알려주려고 노력했는데 앞으로는 좀 더 고민하고 더 많은 내용을 알려줘야겠다고 느꼈어요ㅋ
    감사합니다

  • 둠칫 · 435086 · 15/10/03 09:10 · MS 2012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한 번 더 짚고 넘어갈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하네요 ㅎㅎ 와중에 공격적인 댓글이 많네요 ;;

  • 그래놀라_ · 603922 · 15/10/03 10:31 · MS 2015

    잘읽었어요 저는 오히려 infact가 문제에나오는경우 역접인줄로만 알고있었는데 대부분 순접으로나왓엇네요 뭔가 사실은그렇지않다 가 어울리는 해석일때가 많앗다고생각해슨ㄴ데
    인강쌤말하면서 앞뒤설명없이 아니다 라는식으로 말하는 댓글 많네요 ㅋㅋ 공부도 많이하신 인강쌤들이 200% 아니야. 이건 무조건 상황파악없이 순접이야. 하지는 않앗을텐데 말이에요 ㅋㅋㅋㅋ 제가듣는 인강쌤은 오히려 however과 비슷한 의미로 해석을 주로 하십니다

  • 슈퍼짱짱판타스틱보이123 · 518951 · 15/10/03 11:34

    공들여 쓰신글에 말도 안되는 거로 태클거시는분들 참 보기 안좋네요. 유명강사 얼굴에 먹칠이나 하지 마시길..

  • 슈퍼짱짱판타스틱보이123 · 518951 · 15/10/03 11:34

    공들여 쓰신글에 말도 안되는 거로 태클거시는분들 참 보기 안좋네요. 유명강사 얼굴에 먹칠이나 하지 마시길..

  • KIllinit · 466515 · 15/10/03 13:01 · MS 2013

    메가 조정호쌤도 EBS변형 강의하실 때 역접, 순접 두 경우 모두 문제로 내신적 있는데 ㅋㅋ
    SD모의평가 잘 풀고 있슴돠~

  • 국어1을항해 · 553329 · 15/10/03 13:49 · MS 2015

    그러면, 평가원 연결사문제에서는 in fact가 대부분 순접이고, 문맥적으로 파악할 때는 순접/역접 둘다 된다고 정리하면 될까요??

  • 항해사 · 568449 · 15/10/03 14:07 · MS 2015

    크 윗댓글 인용해서 우리나라는 역시 이명학 고정학의 유교 천지인듯.

  • dj158 · 372453 · 15/10/03 16:45 · MS 2011

    키 작으면 인기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사실은, 유대종이 있다.

  • dj158 · 372453 · 15/10/03 16:45 · MS 2011

    이상 개드립이었습니다.

  • 항해사 · 568449 · 15/10/03 17:05 · MS 2015

    잘못쓰신거 같은데요, in fact 가 아니라 among rest요 ㅋㅋㅋ ㅋㅋㅋㅋㅋ

  • dj158 · 372453 · 15/10/03 20:25 · MS 2011

    정관사 없이 쓸 수 있나요? ㅋ 아무튼 싸우자.

  • wiggle · 535857 · 15/10/03 20:38 · MS 2014

    이런 싸움 재밌음ㅋㅋ 어디 팝콘 없나요?_?

  • 승동 · 309234 · 15/10/04 17:37 · MS 2009

    이때 in fact는 역접이죠~ㅋㅋ
    올리시는 글들의 내용은 가끔씩 보고 있습니다 변치 않으시길 응원합니다

  • 별헤는밤 · 523373 · 15/10/04 20:03 · MS 2014

    역접맞나요 ㅎㅎ.. 대종님 ㅠㅠ

  • 진인사대천명 [盡人事待天命] · 440069 · 15/10/04 19:48 · MS 2013

    열심히 실컷 글써놨는데
    아닌데? 인강강사 누가 아니라고 그랬는데? 라고 하면 어쩌자는겁니까
    옛날에 김기훈이 피니싱터치 팔아먹을때도 그말했겠죠.
    아닌데? 김기훈이 EBS 이거만 봐도 충분하다 그랬는데?

    언제나 인강강사는 평가원의 트렌드보다 앞서나갈 수 없습니다. 그렇게 수업하는 순간 "OO는 수능과 별 상관 없는 얘기만 하는것 같다. XX쌤이 진짜 수능트렌드에 맞는 수업을 한다"라는 소문과 함께 몰락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수많은 인강강사들이 하는 일은 고작 소잃고 외양간 고치기에 지나지 않습니다.

    제가 이명학 현강을 대치동에서 한번 강대에서 한번 두번들었는데 이명학 현강 들어보면 수업할때 "만약 수능에 진짜 그렇게 나오면? 그럼 나는 내년에 '작년에는 이렇게 나왔다' 라고 얘기하겠지." 라고 농담합니다. 인강강사를 저렇게 맹신하니 조금만 문제가 꼬이면 "역대급 불수능" 운운하는거죠.

    글쓴이에 대한 최소한의 얘기는 좀 지키면서 댓글을 달던지 해야죠. 상태가 갈수록 디씨화되어가네

  • 국어1을항해 · 553329 · 15/10/04 22:21 · MS 2015

    인정합니다. 글쓴 분도 전문적으로 영어를 배우신 분인데 넓게 보면 경쟁자인 인강선생님을 거들먹거리는건 예의가 아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