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에서 국어 제일 잘하는 형이다-2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68072023
이전글 보시고 오시기를.
저는 독해력에 몰빵되어 있는 성향임. 송도 룸메였던 의예과친구도 제가 읽는 책들 보고 기겁하더라구. 암튼 국어 한정 서울대 의예과임.... 자뻑 미안.
솔직히 제가 평소에 읽는 글이 수능 비문학보다 훨씬 어려움. 그래서 수능 국어 강사를 해보고 싶은 정도인데, 출생아 수도 줄고 있고 학생들 부모님의 돈을 갈취하고 싶지는 않음. 지인 과외하는 걸로 만족하려구.
왜냐면, 국어는 굳이 학원 인강 안 다녀도 잘 할 수 있기 때문임. 내가 생각하기에 수능 국어 본질에 맞는 강의 있긴 한데,
그건 쪽지 주면 알려줄게.
평소에 독해력 올리는 TIP 끄적여볼게.
1. 학종러들아 책 읽어라.
학종 쓰는데 책을 안 읽는다? 그러면 학종 쓰지 마시기를. 400p 책을 60p 필요한 부문만 발췌해서 읽고, 교과랑 엮으면 됨. 학종 챙기면서 독해력 올려라.. 그리고 책 읽을 때에도 단순히 문장 따라가면서 '이해'하려고 하지 마라. 서론을 바탕으로 본론에서 필요한 부분만 캐치하면서 읽으면 책도 금방 읽을 수 있고 수능 국어에도 적용됨.
2. 글을 감상하려고 하지 마라.
글은 논리성 위에 있음. 어떤 주장을 하기 위해서는 '전제'가 필요함. 그런데 글을 감상하면서, 독해력이 올랐다는 '감각'을 추구해서는 안 됨. 심지어 문학도 마찬가지임. 문학에서 <보기>로 선택지 접근해서 다 풀 수 있음. 왜냐하면 <보기>가 전제니까. 또한 문학 지문 읽을 때에도 앞 뒤 맥락을 보면서 읽어야 함.. 상상은 금물. 글은 냉정하게 읽어야 함. 감각적으로 상상하지 말고. 단어의 전제와 단어들 간의 관계성만 따지기를.
3. 아침이랑 자기 전에 글 읽어라.
뇌과학 연구에서 밝혀진 건데, 아침이랑 자기 전에 인간 의식을 바꾸기가 가장 쉬움. 아침에 기분좋으면 하루종일 좋은 거 경험해봤지? 자기 전에 한 생각이 꿈에 나오는 것도.
암튼 우리 뇌를 조금 논리적, 절차적으로 바꿀 필요가 있음. 글 잘 읽으려면. 나는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변기에 앉아서 책 읽고, 자기 전에 핸드폰 안 봄. 글 읽음. 단점은 친구 만났을 때에도 논리성 생각하는건데. 수험생들은 그래도 괜찮을 듯 !!
4. 좋은 글을 읽어라.
수능이랑 외국작가들이 쓴 글은 대부분 좋음. 그리고 제발 사설 푸는데 돈 안 썼으면 좋겠다. 평가원이랑 사관학교만 풀어도 1등급 맞기에 차고 넘친다.. 그리고 안타깝지만, 한국 교수님들 책보다 외국 석학들 책이 훨씬 논리적임. 외국 석학들이 쓴 책은 수능이랑 퀄리티 비슷한 느낌임. 그런데 대부분 한국 교수님들께서는 너무 글을 어렵게만 쓰시고, 글이 끊기는 느낌이 들어.... 암튼 좋은 글 읽기를! 나쁜 글 읽으면, 잘못된 독해 습관 기르는 것.
5. 범주랑 인과성 따지기.
나는 무슨 공부를 해도, 범주랑 인과성을 따짐. 논리학 용어를 알 필요는 없음. 그런데 그것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어야 함. 항상 이 범주가 나오기까지의 '전제'가 무엇인지 생각해야 함. 전제 생각할 때 HOW? WHY? WHERE?과 같은 의문사 쓰는 것도 중요. 또한 원인-결과-문제-해결책(반대 원인) 등의 글에 자주 나오는 인과성이 자연스럽게 머리에서 굴러가도록 해야 함. 암기할 필요는 없으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언미물지입니다 아직 안 푸렀긴한데 궁금해요
-
내일 중간끝이라 11
개쩌는낮잠을잘거임
-
정시, 논술 다 불가능한건가요? ㅠ
-
왜냐면 지금부터 24시간이 지날때마다 가격을 올려가지고 제 통장을 뒤죽박죽...
-
온라인이라 비벼볼만하다 생각함.
-
화학 양적관계 문제로 "가능한 값들의 총합" 이런거나오면 어케될까 2
수학 사설문제들 풀다가 개열받아서 문득 드는 생각이다 조건으로 X 얘는 이거일수도...
-
지금 과자 먹으면 내일 옷이 안 맞아버려,,,,
-
갑자기 팍 오른 케이슨데
-
도함수 활용 그래프부터 적분까지 왜케 이질감들지;; 극한 처음 배울때 느낌쓰
-
오늘부터 아수라 듣기 시작했는데 진짜 수능때 증명해본다
-
강제로 지방전출 가거나 퇴사 당하더라도 술은 한잔 마시고 가라고 연락와서 술마시러...
-
정법컨 둘다 잇는데 수능 전주에 적생모 시즌 1.2 풀까요 아님 서바풀까요
-
간단한 문제입니다 난이도 : 1.5/5 (좋아요, 팔로우 하면 ㄱㅅ)
-
야생 너구리 찍었어요 10
귀여워요
-
나 여왕벌인데 4
ㅇㅇ
-
학교에서 대가리를 깨보자
-
지질시대에서 무슨기에 겉씨식물출현, 무슨기에 빙하기 이런거 다 외우심? 평가원은...
-
오늘의실모 1
국어 강k7n점 개자살. 영어 전국서바 94+영단어 수학 강x96 스탠 84 이감...
-
어 3실모째라 뇌절와서 29 30에 40분 박고 터짐 머리아프네 14 15틀 어려운...
-
아오; 7
를 바탕으로 => 에 근거해야함를 참고하여=> 에 근거안해도됨 이거 ㄹㅇ이에요?
-
샤인미 1회 5
14.15.21.22.29(확통) 틀림 14,21,22 너무 어렵네요.. 그래도...
-
님들은 재밌어할거같아서요,,전 힘들었지만,,ㅜㅜ
-
뭐라 생각하시나여...? 문제 수월하게 푸려 하는 건가요?
-
봐야하나요? 문학도 덜봤는데..
-
이유가 뭘까요,,,이를 간다고해서 턱이 아픈것도아닌데,,아직도 얼얼뻐근하네요,,
-
나랑 현피뜨자 이런 ㅆ
-
시원섭섭하네용... 만들어진지 1 2달 된 스카였어서.. 이거저것 사장님이나 다른...
-
각자 체득한 지문 읽는방법 통해서 이해하고 응용 및 추론하여 정답에 도출하는 과정이...
-
수학 노베였어서 공통하느라 확통 4점 유기하다가 4점 문제 푼 지 2주정도 됐는데...
-
1차때도 그렇고 오늘도ㅠ그렇고 진짜 이렇게ㅜ어이없이ㅜ점수주나 체하겠다
-
국어 문제집인데, 자체 제작 문제로 구상되어 있고 한 200페이지 정도 되는데,...
-
재수 시작 후 항상 모든 시험 생윤 1 킬러 공부하니 비킬러로 뇌절 가끔 침 고정...
-
친한데 대학 뱃지 같으면 정모같은 것도 하나요??
-
보통 원서 쓸 때 컨설팅 많이 받나요?
-
문학 짧은 질문 0
작품 설명해주는 에 선지에 출제되지 않는 정보가 나올 수도 있나요? 작년 화암구곡을...
-
오늘 공부량 뭐야.. 10
수열 30문제쯤........? 분명 3시간쯤 앉아 있었는데 고작 30???문제????
-
생윤 질문 0
싱어가 동물과 사람을 동등하게 고려하지만 동등하게 고려하지 않는건 알겠는데 이에대한...
-
공부하러 가야되는데 요청이 있어서 올려봄니다.. 이전 글 댓글에 달린 2개만 올려용...
-
차라리 죽는게 낫지
-
레전드 저능.... 문학 복합에서 꼬여서 시간 와바박 날림 그래도 수능 때 아니고...
-
ㅋㅋㅋㅋㅋ ㅋㅋㅋㅋ
-
뭐랄까 풀이도 감도 안잡히고 숨이 탁 막힘
-
운동방향이 오른쪽이고 왼쪽으로 브레이크가 작용한다면 역학적에너지는 감소하나욤?
-
기출 풀어주는 건가... 문제에 쓰인 실전개념, 아이디어, 도구를 정리하는 강의인가요?
-
그래서 걍 날려쓰더라도 다적고 한번에 띡띡 끝내는게 더 빠른듯. .
-
영어 안정3 목푠데 시험풀때 매번 시간부족으로 순삽 문제들중 반이상은 찍고 정답률도...
-
수2 극한 3
갑자기 머리에 오류가 걸려서 질문드립니다..ㅜ x/f(x)가 x=1,x=2에 대해...
-
생각보다 어려움 ㄹㅇ
-
내가못하니까
-
진짜 부끄럽지만 3주차정도 폰으로 녹화해두고 아직더 안들었는데 아까워서...
자기전에 소설책 읽는건 어떤가요
아니면 추천할만한 글 있으신가요?
독해력 올리기에는 소설 책보다는 특정 주제를 다루면서 수능이랑 비슷한 책이 좋을 것 같아요.
EX)
기술 책 - IT 좀 아는 사람
과학 책- 노화의 종말
경제 책- 한국 자본주의
인문 책- 사랑의 기술 (철학 책은 특히 논리적임..)
그나마 쉬운 책 추천!!
근데 사실 학종러 아니면 책보다는 비문학이 독해력 올리기 훨씬 좋아요..!
재미는 좀 없을 수 있지만, 자기 전에도 비문학 읽고 자시는 것이 ... ㅠㅠㅠ
제가 사피엔스 총균쇠 나의 투쟁같은 비문학 책 좀 있는데 이런것도 나쁘지는 않나요?
정시러이긴한데 차피 핸드폰하는것보단 책읽다가 자는게 나아보여서
나의 투쟁은 안 읽어봤는데 그런 책들도 괜찮을 것 같아요!! 그런데 개인적으로 논리성은 철학 책이 정말 좋답니다!! '한 눈에 읽는 현대 철학'이라는 책이 딱 수험생 난이도인 것 같더라고요
학종으로 상경계열 지망하는 외고생입니다
혹시 독서 추천 가능하신가요?
사실 독서활동은 나의 활동의 why를 해소하기 위해 해야합니다. 그렇기에, 궁금증이 무엇이냐에 따라서 달라진다고 할 수가 있지요.
그런데 저는 개인적으로 불평등을 통계적으로 입증해낸 21세기 자본이라는 책을 굉장히 높게 삽니다... ㅎㅎ 비주류 경제학을 주류의 반열로 올린 책
또는 오래된, 질문 새로운 답변이라는 책이 있는데요. 경제학을 산문적 시각으로 풀어냈고, 이 책에 거의 모든 경제 사상가들이 담겨 있어서 발췌독하기에 좋습니다!

감사합니당네 감사합니다. 암튼 활동의 동기가 중요합니다! 그리고 책을 읽고난후의 추가 활동 계획이 중요합니다!
학종관련해서는 스터디코드 학종의 코드가 꽤 좋으니 한번 찾아보시기를 ㅎㅎ
진짜 궁금해서 그런데 24수능 국어 몇점 받으셨어요?
저는 23수능봤는데, 24도 뽑아서 풀어보니 1등급 맞았습니다. 문법이 거의 비문학이더군요
문학 칼럼도 써주실 수 있나요?
넵 보만간 써드리겠습니다!!
넵 기대할게요
혹시 종이책 전자책 차이도 있다고 보시나요??
뇌과학적으로 책을 넘길 때 정보가 더 잘 저장된다고는 하지만, 큰 차이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시험지가 종이이니, 책도 종이로 읽는 것이 더 좋을 것 같긴 합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