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드ㅇ3ㅇ [1267153] · MS 2023 · 쪽지

2024-05-27 20:51:40
조회수 1,244

최근 문돌이들의 연구결과-저출산은 돈으로 해결안된다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68202786

만달러씩 보조비용줘도 안늘어나고

가족정책에 돈풀어도 안늘어난다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것은 아이들의 공부시간과

엄마가 아이에게 들이는 시간이었다


최근 급속도로 출산율이 낮아지는 국가들의 엄마들이 아이에게 들이는 시간이 높아진 반면

1.8을 계속 유지하고있는 프랑스는 엄마들이 아이에게 들이는 시간이 과거와 다르지 않다


흥미롭구만..


저출산은 문돌이들이 해결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댕이?오뎅이? · 1113401 · 05/27 20:52 · MS 2021

    문돌이 따위가 결혼을?

  • 테드ㅇ3ㅇ · 1267153 · 05/27 20:52 · MS 2023

  • 테드ㅇ3ㅇ · 1267153 · 05/27 20:53 · MS 2023

    아 그리고 연애를 많이하는놈들이 애를낳더라 라는 연구결과도있다

  • oilozz · 1110146 · 05/27 20:54 · MS 2021

    그거 참 유링게슝하네요

  • 테드ㅇ3ㅇ · 1267153 · 05/27 20:54 · MS 2023

    ㅋㅋㅋㅋ

  • oilozz · 1110146 · 05/27 20:52 · MS 2021 (수정됨)

    문도리윗단

  • 木星 · 1155675 · 05/27 20:54 · MS 2022

    알파메일 테드님이 혼자 원맨쇼로 출산율 끌어올리죠
  • 테드ㅇ3ㅇ · 1267153 · 05/27 20:55 · MS 2023

    제발
  • 군수해야 하는 유우령 에피메테우스 · 1085533 · 05/27 20:56 · MS 2021

    부모의 과도한 관심이 무의식적으로
    아 아이 키우기 힘드네
    이런 의식을 계속 가지게 만들어서 아이를 더 낳지 말아야겠다
    이렇게 생각하게 만드는 걸까요

  • 테드ㅇ3ㅇ · 1267153 · 05/27 20:56 · MS 2023

    너무 시간을많이 쏟아야하는것이
    압박이 될것이라는 분석이있습니다

  • 녹색이념 · 1152117 · 05/27 21:06 · MS 2022

    아니면 그러한 압박을 느끼고 자라서 본인의 유년시절이 행복하지 않음 → 그러니까 나는 애 안 낳아야지... 로 이어질 수도 있으려나요

  • Ka so JK · 1219869 · 05/27 20:57 · MS 2023 (수정됨)

    한국은 걍 출산이 자기 인생에 피해라는 인식이
    특히 여성층 중심으로 10년새 도저히 감당불가능할만큼 늘어난게 원인인듯

  • 테드ㅇ3ㅇ · 1267153 · 05/27 20:58 · MS 2023 (수정됨)

    이 연구결과는 한국뿐아니라
    다른나라에도 적용되는결과임
    공통적으로 사회적 프레셔가 크다는 점이 있었음 (특히 저출산이 도드라지는 국가)

  • Ka so JK · 1219869 · 05/27 20:59 · MS 2023 (수정됨)

    아 국제연구임? 오독 ㅈㅅ

  • 테드ㅇ3ㅇ · 1267153 · 05/27 20:59 · MS 2023

    해외연구라 ㅋㅋ

  • 박윙깅-최연준누나팬 · 233301 · 05/27 21:08 · MS 2017

    심플하게 유년시절이 행복하지 않더라도 극복하는경우에 낳아야지까지는 생각이 들지만
    경제적 요인이 가장큼 제도적으로나 구조적으로 바꿔야할게 너무많음

    집문제도 집문제 낳았을때 부모 한명이 전담하고 다시 사회진출에 대한 문제 (육아휴직같은)
    그리고 우기는놈이 이기는 세상이 되어버렸다는 인식
    (저새끼랑 내새끼가 같이큰다고? 와씨 세상 미쳤네 안낳아)

  • 테드ㅇ3ㅇ · 1267153 · 05/27 21:15 · MS 2023

    이게 경제적요인은 이미 아이가 있는 가족일 경우 상관관계는 컸는데
    0에서 1이될때는 생각보다 적었음

  • 박윙깅-최연준누나팬 · 233301 · 05/27 21:54 · MS 2017

    오호 나는 개인적 경험에 의해 ㅇㅇ 근데 집의 문제가 의외로 큰데 우리나라같은 집값 구조를 보이는데서는 아마 압도적일듯? 홍콩쪽이나 아시아쪽은.. 유럽은 또다른 문제들인걸루 앎

  • 1dh · 936954 · 05/27 21:09 · MS 2019

    상위권대학 입시난이도를 파괴해서 대학입시에 들일 비용을 줄이면 될까요

  • 테드ㅇ3ㅇ · 1267153 · 05/27 21:12 · MS 2023

    그렇게하면 교육경쟁력이 저하되는데
    그건 곧 산업경쟁력 저하로 이어집니다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에서 그렇게하면 엄

  • 도희 · 495790 · 05/27 22:02 · MS 2014 (수정됨)

    하지만 프랑스와 같은 국가들마저 출산율이 난민, 이민자들이 뻥튀기 해놓은 결과라...심지어 인구학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마저도 2세대, 3세대를 거치면 그들도 원래 살던 국민들과 똑같이 저출산으로 바뀌기에 지속적인 인구 유입이 없는 이상 저출산은 필연입니다.

  • 테드ㅇ3ㅇ · 1267153 · 05/27 22:52 · MS 2023 (수정됨)

    같이 이민받았던 영국 독일 이쪽도 내려가는건 마찬가지인데
    프랑스만 1.8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있는걸 봐서는
    확실히 저 연구결과가 신빙성있어보입니다

  • 도희 · 495790 · 05/27 23:41 · MS 2014 (수정됨)

    단순히 그렇다고 보기에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원문을 보지 못했지만, 단순히 어머니의 양육 투입 시간 - 저출산에 관한 부분에 한정해서요.

    독일은 최대 이민 유입지가 루마니아나 폴란드와 같은 동유럽 국가이며, 동유럽 국가 출신 이민자들은 그렇게 출산율이 높지 않습니다.

    반면 프랑스는 알제리와 모로코를 비롯한 북아프리카 아랍권 국가들이며, 이들은 아이를 많이 낳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같이 이민을 받을지라도 프랑스는 비토착민 기준 출산율이 2.5 이상 육박할 정도로 높습니다만, 독일이나 영국은 그렇지 않습니다. 1.7~8정도입니다.
    그래서 애초에 어머니가 아이에 들이는 시간을 떠나서 프랑스는 높은 출산율을 유지할 수밖에 없습니다.

    아이에 들이는 시간과 출산율의 상관 관계를 명확히 하려면 프랑스 이외의 다른 국가들에서도 타당한 근거가 나와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만약 연구 결과가 토착민 기준으로 명확히 통제를 해서 나온 결과가 아니라면 의미가 있다 정도이지 신빙성이 높다고 판단되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100% 제 생각이고, 사회과학 연구는 원래 해석하기 나름이며, 연구는 똑똑한 박사님들이 하셨겠지만요.

  • 도희 · 495790 · 05/27 23:46 · MS 2014 (수정됨)

    물론 위에 말씀해주신 societal pressure 관련한 것이라면 유의미한 예시가 많다는 점에서 매우 공감합니다...ㅎㅎ 그리 살기 좋고 국민들한테 배급 다 해주는 싱가포르만 봐도 societal pressure 높으니 출산율 매해 박살 중이죠 ㅠㅠ 전 세계 1위인 우리나라가 최저 출산율인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 녹색이념 · 1152117 · 05/27 22:48 · MS 2022

    출산수당이나 육아수당 같은 현금성 정책이 분명 자녀가 있거나 최소한 자녀계획이 있는 가정에는 도움이 되는 정책이겠지만

    자녀계획이 없는 부부한테 자녀계획을 갖게 만드는 효과는 못 내겠죠...?

    그리고 요즘은 그냥 여러 이유로 자녀계획이 없는 사람들의 비중이 너무 커진거라고 보는데

    현금성 정책의 함정이 이런 거 아닐까요...

  • 유종 · 1256421 · 05/27 23:49 · MS 2023

    여성의 사회진출이 저출산에 굉장히 안좋음 모두가 알지만 아무도 말하지않는 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