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2 [962783] · MS 2020 · 쪽지

2024-06-06 22:49:14
조회수 573

6모 생윤 7번 질문-묵자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68320438

1. 생윤 마더텅 풀었는데 묵자가 동양사상에서 제시문에 나온적이 없던데, 이번 6모때 처음 문제로 나온거 맞나요?


2. 묵자는 겸애(차별하지 않고 사랑), 공자는 별애(차별하는 사랑=친분에 얽매임)인데 제시문에서는 서로 사랑하라고 되어 있는데 이것만 보고 묵자인걸 확신할 수 없지 않나요? 

묵자인걸 제시문에서 어떻게 추론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생윤 5, 7 두 개 틀려서 46인데 남들 다 맞는거 틀려서 현타 ㅈㄴ 오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눈문어꿈을꾸는문어 · 1312307 · 06/06 22:58 · MS 2024

    6평 안푼 고2라 방금 문제 봤는뎅 서로 이롭게 한다가 수특에 나온 묵자의 상호이익 아닐까요? 교리??

  • 신성2 · 962783 · 06/06 23:15 · MS 2020

    감사합니다. 서로 이롭게 한다->묵자로 풀면 되는 거였네요.

  • 셍깅 · 1233417 · 06/06 23:09 · MS 2023

    1은 잘 모르겠음. 서로 사랑하라는 뜻이 애매하다고 생각되더라도 윗댓처럼 제시문으로 묵자의 교리사상인거 알 수 있고 한자도 겸애(兼愛)라고 되어있어서 난 이걸로 묵자라고 간주함.. 글고 이건 걍 하는 얘긴데 동양사상은 한자도 같이 외워 놓는게 좋음. 작년 9모 3번도 을 제시문보면 누구지 싶은데 의(義),불의(不義) 한자보고 맥락파악했음..

  • 신성2 · 962783 · 06/06 23:14 · MS 2020

    감사합니다. 별애, 겸애등 동양사상에서 나오는 기본적인 한자는 외워야겠네요.
    그리고 서로 사랑하라는 애매 했다고 쳐도, 서로 이롭게 한나->묵자로 풀면 되는 거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