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풀화1_2 [1262779] · MS 2023 · 쪽지

2024-06-27 13:40:55
조회수 915

화학1 - 금속 반응 팁 + 간단한 예제 (+ 화1 질문 받아요)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68552002

안녕하세요.

오늘은 금속 반응 팁이라 해야하나? 팁이라면 팁이고 아니라면 아닌 그정도의 정보를 들고 왔습니다.



0.

화학1 문제를 풀다보면 많은 학생들이 실수하는 부분이

쉬운 문제를 어렵게 풀려고 한다는 것

입니다.

그중에서 가장 대표적인게 금속반응이죠.



1. 반응성은 나오지 않습니다.

지난 교육과정에서 킬러였던 금속반응과 달리 이번 교육과정에서는 1,2페이지의 비킬러로 문제가 나오고 있습니다.

일부 사설에서는 킬러로 나올것을 대비하여 3,4페이지에 배치하는 경우도 많지만, 킬러로 나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반응성과 관련된 내용을 낼 수 없기 때문이죠.


2. 지금까지 나온거는 모두 전하량 보존

23수능 금속반응

전하량이 6N으로 보존되게만 하면 끝입니다.

m=3, x=3


24수능

전하량이 15N으로 유지된다가 끝입니다.

B 3mol, m = 3이 끝이죠.


3. 조금 변화가 생긴 25학년도

25학년도 6월 모의고사입니다.

여기서 볼만한 요소는 A+의 양이 mol이 아닌 부피로 주어졌다는 점입니다.

조건이 달라지니 당황할 수 있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킬러입니다.

들어간 B의 양이 2 : 3인걸 보고 n을 구해주면 되죠.


4. 이제 나올만한 조건 + 예제

이렇게 되면 6평과 연계되면서 수능에 나올만한 조건은

A 고체에 B수용액을 붓는 실험이 있겠네요.


(가) 비커에 A(s) wg 넣고

(나) 비커에 B2+ 수용액 VL 넣고

(다) 비커에 B2+ 수용액 0.5VL 넣고


각 과정 후 비커에 존재하는 금속 양이온의 양

(가) 0

(나) 2

(다) 3

이때 An+의 전하량은?



5. 결론


쉬운 단원들은 주어지는 조건이 달라진다 하더라도 쉽습니다.

수능때 이런 경우는 많이 나오는데, 이때 당황하면 시험 조지는겁니다.

사설 문제를 많이 풀어봄으로 다양한 조건에 대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거고

문제에서 핵심 조건을 뽑아내는 연습을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겁니다.


어떻게 해서라도 새로운 조건이 나왔을 때 당황하지 않고 처리하는 연습을 해두길 추천드립니다.


+) 질문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과외문의는 쪽지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