돛대 [606835] · MS 2015 (수정됨) · 쪽지

2018-09-05 18:16:19
조회수 4,298

[돛대샘] 9월 모의에서 평가원이 던진 국어 메시지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18319285



9월 모의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우리에게 부담스런 시험이다. 


우선, 수능을 앞두고 평가원에서 치르는 마지막 시험이기 때문이다. 물론 10월 모의가 섭섭하게 생각할 순 있겠지만 수능과의 긴밀한 연관성을 고려할 때 어쩔 수 없는 사실이다. 또한 가을 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하기 때문에 수능의 입김에 대한 나도 모르는 긴장감이 맴돌게 되는 계절의 영향도 있다. 무엇보다 차주부터 수능 원서 접수가 시작된다. 수시 지원 전략이다, 정시 지원 전략이다에 있어 큰 변화나 결단이 이번 시험의 영향권 아래에 있기 때문에 긴장은 더욱 고조될 수밖에 없다. 


‘호랑이에게 물려 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는 속담이 있다. 말처럼 쉽지 않은 얘기지만 이번 9월 모의는 우리에게 다시 한 번 ‘정신을 차리는 방법’에 대해서 네 가지 선의의 속삭임을 알려 주었다.  


첫째, EBS 교재를 충실히 정리하라.


올해 6월 모의에 이어 이번 9월 모의에서도 EBS 연계 교재에 대한 기조는 일관성 있게 유지되었다. 문학만 보더라도 시험지 낱장을 넘기는 여러분에게 친숙한 지문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고전소설 <홍길동전>, 현대소설 <비 오는 길>, 고전시 <한거십팔곡>, 현대시 <추억에서>, 희곡 <공동 경비 구역 JSA> 등 낯설지가 않았다. 한번 평가원을 믿고 남은 시간 동안 꼭 EBS 교재의 작품들을 잘 숙지해 봐. 약속해 줘~.  

 

둘째, 시간 관리를 꼼꼼히 하도록. 

 

올해 수능의 중요한 특성은 앞에 예고된 두 번의 평가원 모의고사를 통해 예측해 볼 때, 시간 관리가 철저하게 행해져야 한다는 점이다. 일단 9월 모의에서도 거시적인 변형은 없었다. 눈에 두드러지는 변형이라곤 화작에서 [4번~7번] 묶음이 [3번~7번] 묶음으로 나왔다는 정도뿐이지만 실제 문제를 푸는 데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었다. 실제 중요한 포인트는 미시적인 변형에 주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 문학의 경우, 승부처는 희곡을 얼마나 신속하게 해결했느냐이다. 세 문항의 정답이 모두 5번이었다. 그리고 바로 현대 소설의 지문이 이어졌는데, 중략 전의 내용이 난해한 문장이었다. 시간 관리가 허술하면 안 돼. 맞출 수 있는 많은 문제를 놓칠 수 있단 말이지. 


셋째, 실수를 최소화하도록. 


실수의 최소화는 둘째의 당부인 시간 관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번 9월 모의의 경우, 화작문, 비문학, 문학 곳곳에 시간 관리의 요소들이 포진해 있었기 때문에 실수 유발이 잦은 시험으로 여겨진다. 적절한 것을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선지를 5번까지 다 읽었으면 맞았을 텐데 너무 성급하게 답을 골라서 등등. 학습에서 실수는 병가지상사야. 그래도 수능에서는 실수로 틀려 속상한 일이 없도록 할 거지?  


넷째, 고난도 문제를 잘 연습해 둘 것. 


남은 기간 국어 공부를 정리하면서 고난도 문제에 대한 대응 능력을 향상시킬 것을 주문하고 있다. 이번 시험에서 비문학의 경우, CDS프리미엄의 24번 문제, STM(주사 터널링 현미경)의 32번 문제가 고난도였다. 24번의 경우, 기초 자산의 신용 등급과 보장 매도자 발행 채권의 신용 등급만 잘 구별한다면, 32번의 경우, 단위 부피당 기체 분자 수가 곧 기체 압력과 비례한다는 점만 잘 파악한다면, 해결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준 것이다. 


점수보다 더 값진 평가원의 메시지를 잘 경청해서 다가올 수능에 만전을 기하길 바란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