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h0326 [414490] · MS 2017 · 쪽지

2012-10-30 22:51:41
조회수 1,558

2012 수능 생물2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3151988


18번 ㄷ보기와 20번 좀 풀어주세요

ebs에서 제공한 해설을 봐도 이해가 도통 안가네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혜빼어남 · 416799 · 12/10/30 23:23 · MS 2012

    잠시만용

  • 지혜빼어남 · 416799 · 12/10/30 23:25 · MS 2012

    ㄷ 맞는거죠?

  • FlexiblePlayer · 415346 · 12/10/30 23:26 · MS 2012

    18번 ㄷ보기. 일단 암컷의 유전자형은 AABb라고 전제되어있습니다 여기서 나올 수 있는 생식세포 유전자형은 AB,Ab입니다. 생식세포 유전자형이 AB,Ab이고 이 둘은 각각 1:1비율로 나옵니다 그리고 둘다 A를 가지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죠. 이 두 생식세포 유전자형이 수컷의 생식세포와 만나서 수정하여, 자손 F1이 나올 때, 그때 AaBb(몸 색깔과 날개 길이의 유전자형이 이형접합)가 될 확률을 물었습니다. 암컷에서 AB가 나온다면 수컷에서 ab가 나오면 됩니다. 한편 암컷에서 Ab가 나오면 수컷에서 aB가 나오면되죠 방금 언급한 이 두가지 경우의 확률을 구해서 각각 더한다면(암컷이 AB인 경우와 Ab인 경우가 다르므로 확률의 덧셈법칙을 사용함) 구하고자 하는 확률이 나올것입니다. 먼저 암컷이 AB인 경우입니다. [여기서 잠깐,수컷이 어떤 생식세포를 어떤 비율로 구할지 복잡하실텐데요, 문제에서 A와 B는 서로 다른 염색체에 존재한다고 했으므로 A와 B는 독립입니다. A와 B가 독립이라면, 유전 계산에 있어서도 각각 독립적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와 B를 독립적으로 구합니다. ] A에 관해 먼저 계산해봅시다. 암컷은 항상 A이므로 수컷은 a만을 주어야 함. 문제에서 유전자빈도를 구해보면 a는 0.7임을 아실겁니다. 그러니까 F1의 유전자형이 이형접합이 될 확률은, 몸 색깔 유전자만 두고 본다면 0.7이 됩니다. 이는 암컷이 Ab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왜냐하면 암컷이 Ab이어도 수컷은 항상 a를 주어야하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돌아가서 암컷이 AB일 경우에 날개 유전자에 관해 확률을 구해봅니다. 수컷 개체에서 BB는 0.36, Bb는 0.48, bb는 0.16입니다. 수컷이 b를 줘야 F1이 이형접합이 될 것이므로, 수컷이 b를 줄 확률은 0.48 x 0.5(Bb인 경우에 b를 줄 확률은 1/2이므로) + 0.16(bb는 항상 b를 주므로) + 0.00(BB는 b를 주지 못하므로)=0.4입니다 복잡하지만 여기서 잠깐 정리해본다면,
    AB와 ab가 수정할 확률 -> A-a = 0.7 , B-b = 0.4
    0.7 x 0.4---ㄱ
    이번엔 암컷이 Ab일 경우를 생각해보겠습니다 A의 경우는 구했으니 B만 구하면 되죠.
    BB=0.36,Bb=0.48,bb=0.16. B를 줄 확률 = 0.36 + 0.48 x 0.5 + 0.00=0.6 정리하면
    Ab와 aB가 수정할 확률 -> A-a = 0.7 , b-B = 0.6
    0.7 x 0.6---ㄴ
    ㄱ=0.28이고 ㄴ=0.42인데요
    여기서 ㄱ은 암컷이 AB, ㄴ은 암컷이 Ab인 경우인데
    AB가 될 확률은 1/2,Ab가 될 확률도 1/2입니다
    따라서 수정할 확률이 각각 1/2을 곱해주셔야되죠
    그렇게 된다면 0.14, 0.21이 될것이므로 합이 0.35가 되서 ㄷ 선지가 맞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 FlexiblePlayer · 415346 · 12/10/30 23:27 · MS 2012

    설명하면서 저도 공부하려고 길게길게 풀어썼는데...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지혜빼어남 · 416799 · 12/10/30 23:32 · MS 2012

    임의의 다른것과 교배를 하는것에서구할때는 바로 확률을곱하시면되요
    여기서 암컷에게서나올수있는 생식세포는AB와Ab죠
    AB면 수컷에서ab가와야이형접합이되겠죠 ?
    ab의확률은 7/10 *4/10 인데 암컷에서AB가나올확룰1/2해주시구 Ab인경우도같게요!

  • FlexiblePlayer · 415346 · 12/10/30 23:46 · MS 2012

    아 제가 궁금했던 풀이였는데 설명해주셨네요! 임의의 다른것과 교배할때는 유전자 빈도로 바로 풀어도 되나요??

  • FlexiblePlayer · 415346 · 12/10/30 23:44 · MS 2012

    20번 문제. 일단 교차를 물어보는 문제인 것은 문제의 (단,~~)에서 알아채셨을겁니다. 교차율은 결국 생식세포의 비로 구하는것이므로 생식세포의 비, 여기서는 검정교배로 얻은 자손의 개체 비가 생식세포 비 이므로 F1의 유전자형을 분석해 봐야됩니다 먼저 흰색이 500개입니다. 생식세포 유전자형으로 표현하자면
    a _ _가 될겁니다 ( a _ b _ C _ 와 같이 유전자형을 온전히 나타내지 않은 이유는 검정교배이기 때문입니다 검정교배를 하게되면 열성순종 aabbcc의 단 하나의 생식세포 abc를 물려받을것이기 때문에 2,4,6번째 빈칸에 들어갈 유전자형은 무조건 a,b,c가 되기에 1,3,5번째 빈칸의 대립유전자가 무엇이냐에 따라 형질이 결정되므로 3자리 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노란색은 400개이고 A b _가 됩니다 붉은색은 A B d이고 50개, 보라색은 A B D이고 50개 입니다. 왜 이렇게 구하나요, 결국 AB의 교차율을 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분석하는겁니다. AB의 교차율을 구할때는 AB 이외의 유전자는 계산에서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면 생식세포 비율을 간략적으로 표기하면 AB : Ab : aB : ab = 100 : 400 : x : y 임을 알 수 있죠. 그런데, 교차가 일어나는 경우를 잘 생각해 봅시다 . Ab와 aB가 연관된 유전자 형을 가정합니다. 여기서 교차가 일어나게 됩니다 그렇게 된다면 AB와 ab가 생식세포로 나오게 되겠죠... 그런데 여기서 주의해서 봐야 되는것이, 교차를 통해 AB가 나왔다는건 그 교차짝인 ab도 나왔다는 겁니다. 만일 교차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Ab와 aB가 나올건데, 그것도 각각 짝을 이뤄서 나오게 되는겁니다 한마디로 생식세포에서 AB와 ab의 개수는 각각 같아지고 aB와 Ab의 개수도 같아지게 되는거죠 그 사실을 바탕으로 x=400, y=100임을 구해내실 수 있습니다. ㄱ.붉은 색 개체는 항상 유전자형이 A(a)B(b)d(d)이니까 맞죠 ㄴ. A-B는 상반교차임을 문제에서 알수 있고, D는 A-B와 독립임을 알수있습니다. 따라서 D는 독립적으로 계산하셔도 되는거죠. D는 AB이던 Ab이던 aB이던 ab이던간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유전되므로 50% 맞습니다.
    ㄷ. 1 : 4 : 4 : 1 ---> 교차율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