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컴퓨터공학과 과목 맛보기 - 1. 자료구조
게시글 주소: https://m.orbi.kr/00066022158
이전에 썼던 글(https://orbi.kr/00065595898)이 인기가 많았어서..
제가 내년부터 의학 공부를 하게 되면 다 까먹을 것 같아서 글로 좀 남겨보려고 합니다.
오르비에 서카포고연 컴공 형님들도 계시는데 제가 이런 글을 적어도 될지..
저번 글에서는 각 과목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을 했었는데
오늘부터 쓸 글에서는 한 과목씩 좀 자세히 써볼까 합니다.
(각 과목에 대해 배우는 내용은 대학교마다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첫 글에서 살펴볼 과목은 '자료구조'입니다.
(성균관대에서는 정보통신대학에서 열리는 수업을 '자료구조',
소프트웨어대학에서 열리는 수업을 '자료구조개론'이라고 부릅니다.
단과대 차이를 표기하기 위함이고 배우는 내용은 동일합니다.
다른 과목에 '-개론'이 붙는 이유도 동일합니다.)
필자가 이 과목을 수강했던 학기는 2019년(1학년) 2학기, 평점은 A+였습니다.
다른 대부분의 학과가 그렇듯이 과목 이름을 보면 무엇을 배울지 알 수 있습니다.
자료구조(Data Structure)를 위키백과에 한번 쳐보죠..
네.. 그냥 이게 다입니다. 한 학기 동안 데이터를 담는 그릇에 대해 배웁니다.
자료구조는 대부분의 대학에서 커리큘럼 상에서 제일 먼저 배우는데
이 과목을 듣지 않으면 다른 과목을 들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자료구조가 컴퓨터 과학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본이 되기 문이죠.
일반적으로 이 과목은 C언어로 수업과 과제가 나갑니다. (파이썬으로 배우는 곳도 있다고는 하던데..)
그러므로 이 과목 수강 전에는 C언어를 능숙하게 사용할 줄 알아야 조금 편합니다.
특히 C언어에서 초보자들이 막히는 부분이 '포인터'인데 이건 반드시 아셔야 합니다.
대부분의 자료구조를 코드로 구현하는 데에는 포인터를 사용하기 때문이죠.
(아래는 첫 수업 교안 일부)
이렇게 C언어를 잠깐 복기시켜주고 그 다음으로는 이론적인 내용이 나옵니다.
예를 들면 아래의 Big-O와 같은..
시간복잡도라고 어떤 알고리즘이 얼마나 빨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n은 처리할 데이터의 양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진짜 대충 설명하면 O(n)은 n이 10에서 100이 되면 처리 시간도 대략 10배 커지는 알고리즘입니다.
반면 O(n^2)은 n이 10에서 100이 되면 처리 시간이 대략 10^2=100배 커지는 알고리즘을 말하고요.
자료구조 외에도 정렬에 대해서도 이 수업에서 배웠기 때문에 알려주신 게 아닌가 싶습니다.
정렬에도 여러 방법이 있는데 각 알고리즘마다 시간복잡도가 서로 다르거든요.
그 다음부터는 본격적인 자료구조에 대해서 배웁니다.
제가 배운 건 배열(Array), 스택(Stack), 큐(Queue), 연결 리스트(Linked List), 트리(Tree),
그래프(Graph), 해시(Hash)가 있었습니다.
여기서 다 살펴보기는 힘드니까 찾아보면 다 나옵.. 배열만 봐보죠.
-------------------------------------------
1. 배열 (Array)
배열은 C언어를 배울 때도 배우는 가장 기본적인 자료구조.
같은 형태의 자료가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할당.
장점
- C언어 기준으로 '자료형 이름[개수]; ex) int a[5];'라고 적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구현이 편함.
- Random Access 가능 (a[3]이라고 하면 4번째 원소 불러옴) 컴퓨터는 숫자를 0부터 셉니다
단점
- 중간에 있는 데이터를 지우기가 어렵다. (ex) 1 - 2 - 3 - 4 --> 1 - 2 - 4)
- 처음 선언할 때 정했던 크기에서 바꿀 수가 없습니다.
프로그램 처음에는 10칸만 필요했는데 나중되니까 5칸은 필요없다?
그러면 그 5칸은 자리만 차지하고 쓸모 없는 공간이 되어버림.
-------------------------------------------
배열에 대한 교안을 대략 요약하면 이렇게 됩니다. (실제 배우는 건 살짝 더 많습니다.)
이런 식으로 각 자료구조가 어떤건지, 어떻게 코드로 구현하는지,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지, 어떤 경우에 이 자료구조를 쓰는지 등에 대해서 배우는 수업입니다.
이렇게 배운 자료구조는 앞으로 들을 모든 수업에서 계속 튀어나오기 때문에 까먹으면 안됩니다.
원래 과제는 어떤 게 나오는지 제가 그때 했었던 과제를 같이 보려고 했는데
2020년에 성균관대 아이캠퍼스(수업 듣는 포털)이 바뀌면서 예전에 내준 과제를 볼 수가 없네요..
다음 과목들은 2학년 이후에 들었으니까 그때부턴 적어보겠습니다.
제가 적은 글 (클릭하면 연결)
(현재 글) 2. 컴퓨터공학과 과목 맛보기 - 1. 자료구조
3. 컴퓨터공학과 과목 맛보기 - 2. 시스템프로그래밍(1)
4. 컴퓨터공학과 과목 맛보기 - 2. 시스템프로그래밍(2)
0 XDK (+1,000)
-
1,000
-
순수한 친구들 많아서
-
뉴비라 행복함 1
아무도 내 전생을 기억하지 못해
-
이제 자야겠다 1
자기 전에 한번 하고 자야지 다들 잘자요
-
수학 2등급한테 과외하는거면 계속 문풀위주로 돌려도 ㄱㅊ져? 3
실전개념 이런걸 따로 해줘야하나 걍 수업때 조금씩 알려줘도 ㄱㅊ겟져
-
하프모 풀모 다 상관없어요
-
레어 질렀따! 0
-
중딩때 반에서 하느님 안 믿으면 지옥간다고 계속 그랬었는데 내가 왜 지옥에 가야해
-
학원을 사정상 5월부터 다녀야 할 거 같은데 방법이 뭐가 있나요? 살짝 찾아보니...
-
먼가 익숙하네
-
ㅇㅇ
-
너무 저질체력이라 운동은 해야 될 것 같은데 공부랑 병행해도 되는지 잘 모르겟음뇨…...
-
어 일어났니? 좀 부었네? 라고 맨날 하시는데 부은게 아니라 그냥 살이 찐거임..
-
ㅇㅇ
-
근데 너무 오르비스럽긴 함 ㅇㅇ
-
화1지1 해서 나머지 과목 노베임 화2 하는게 좋다고 들었는데 맞음? 생명이나 물리도 공부해야하나?
-
이걸 보고 걍 ok 해줄줄은 몰랐음..
-
특성화고 전형으로 직탐 보고 중경외시건홍동 라인 간 친구가 한 말 나도 특성화고...
-
닉변완 1
ㅇㅇ
-
특정좀무서운데 2
걍 글 싹 밀까
-
사각형은 4
각이 6개
-
김승리 강민철 0
강민철 비문학이 잘 안맞아서 독서는 김승리 커리 탈까하는데 김승리쌤 괜찮나요?...
-
한번 더 할까? 3
반수만 어렸을때부터 카의나 고의 가는게 꿈이었는데 수능 몇 문제의 차이란게 참
-
5년만에 수능 준비하는 노베인데 과탐 해도 될까요? 10
직장다니다가 대학 다시 가야겠다고 생각해서 이것저것 고민중인데 과탐을 해도...
-
먼저 써주면 댓글로 써드립니다-
-
프변완。◕‿◕。 3
-
컴퓨터를 사야지
-
미안하지만들어가줘야겠어
-
중부대학교 나오면 중안부길어질수잇음?
-
그게나야
-
가장최근이 언제였음?
-
근데 그거 지금 다 잃음 ㅅㅂ
-
요아소비콘 3
-
재수비용1600쳐들고재수실패한병신새끼
-
부자친구좋지 0
근데 나돈벌기시작하니까 걔도 나한테 얻어먹음 ㅅㅂ
-
ㄹㅇㅋㅋ
-
안녕하세요. 많은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또, 뛰어난 실력을 지니신...
-
일단 수험생이 지금까지 옯비 보고 있는거면 끝났음 이미 4
나 말하는거임
-
흐흐 0
-
얘드라 미아내... 아무리 생각해도 참신한게 안떠오른다 ㅅㅂ
-
그러고보니 1
난이제 고졸이니 중졸 무시해도 되겠네 ㅋㅋ?
-
시끄러워 2
중졸
-
히키니트에겐 집이 필요해..
-
진짜 옯창된 느낌이네 옯창단의 필수 덕목이 프사였던거구나
-
옛날 초딩들은 6
여름이 되면 밖에 나가서 잠자리 잡고 올챙이 잡으러 계곡을 갔어요
-
집값메타 드가자 2
과자집 만들까 5000 원이면 충분할듯
-
원래 지고있었어서 욕만 하다가 마지막에 이기니까 서로 칭찬해주자 하면서 우쭈쭈해줌
-
25리트 집에서 시간재고 풀었을때 130점대 후반이었습니다 원래 책 많이읽었고...
-
여전히 맛이 간 그 구단
-
집값메타라 6
부모님집 5000/180 자취방 1000/70 우웅 자가는없어 ㅜㅜ
재.밌.다!
이제 포인터에 대해 알아볼까요? 하악하악
포인터 모르면 입밴입니다.
너무재밋서요빨리다음편
힘들어요
오오 선좋아요 후 감상
한문장한문장 읽어보니까 이해가 되긴 되네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_animated/009.gif)
오르비만 했는데 과목 튜토리얼이 올라온다![](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07.gif)
연재를 이어가는 데는 여러분의 관심이 필요합니다..![](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06.gif)
근데 진짜 보고싶어요 다음거도![](https://s3.orbi.kr/data/emoticons/2020_foolsday/oribi/006.gif)
리스펙트자료구조를 1학년 때 배워요?
저희는 그랬는데 이게 특이케이스긴 하더라고요 보통 2-1이던데..
우리학교가 노답인줄 알았는데 성대가 빠르거였군요 ㄷㄷ
저희는 2-2입니다
물론 2-1에 듣는 경우도 꽤 있습니다
자구를 OOP 지원되는 언어가 아닌 C로 하는군요.. 저희는 Java로 합니다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15.gif)
OOP 되는게 편하긴 한데..C에서 struct랑 union 쓰게 하는거로 뭉개더군요
지금은 바뀌었을지도?
하 진짜 내 취향 아닌데 파이썬까진 꾸역꾸역했어도 더 이상 안되겠다 무조건 반수 성공해야지